폐수배출업소는 24개 시설로 나눠지고 배출 폐수량에 따라 1종에서 5종까지 구분된다. 85년도 말 현재 전국에 6천4백22개소의 폐수 배출업소가 등록되어 있다.(표5 및 6).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종 업소가 숫자로는 전체의 3.3%에 불과하나 폐수배출량은 88.7%에 달하고 있어 산업폐수에 의한 ...
바나나처럼 서귀포 부근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데, 재배역사는 바나나보다도 오래돼 15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말하자면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재배에 성공한 열대성 과일인 셈이다.제주도에는 바나나·파인애플 이외에도 열대성 과일이나 식물들이 많다. 대부분이 시험재배단계이긴 하나 무려 4 ...
1천만 달러로 예측했으나 실제로는 매 발사때마다 5천만달러의 국고보조비가 들어간다.(85년의 달러가치로 환산하면 72년의 1천만달러는 2천5백80만 달러가 된다) 그런데 상용베이스로 셔틀을 사용한다면 실제로는 1회발사에 7천1백만 달러는 받아야하는데 NASA가 발사료를 더 올리지 못하는 그만한 ...
역사가 1백년에 이르나 우리나라는 의약품 원료를 합성하기 시작한 역사가 15년 밖에 안된다. 게다가 아직 단 1건의 신물질을 개발한 경험이 없다. 그러나 최근에 한국 화학 연구소 한국 과학 기술원 및 몇몇 제약회사에서 새로운 정밀화학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 하였다. 부존자원이 ...
거대기술의 세계적 권위자인 '프랭크 데이빗슨' 교수와 일본 '과학 아사히'지와의 대담으로 알아본 깜짝놀랄 내일의 기술역사를 돌이켜보면, 왕국의 분묘나 대운하 건설 같은 거대한 프로젝트는 인류문명 진보의 원동력이었음을 느낄 수 있다. 현대의 피라미드 건설, 예컨대 지구규모의 초대형 계 ...
토산물이었으나 남획과 서식환경의 악화로 지금은 이것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1945년경에만 해도 동해의 독도(獨島)에는 바다사자가 있었는데 그 뒤에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서해나 남해의 진흙길의 조간대에서 흔히 볼 수 있던 농게는 간석지의 간척으로 말미암아 서식처를 잃어 없어져 가고 ...
미래사회의 중추기능, '포스트 프로젝트'는 정보화 사회의 진정한 의미를 우리에게 전달해 줄 수 있을 것이다.우체국이라면 먼저 선뜻 떠오르는 것이 우표아니면 가방을 멘 집배원 아저씨 정도가 아닐까 생각된다. 어떻게 보면 아련한 추억속의 그리움같이 '편지'부치고 전보 치는곳'이라는 우체국 ...
표면사진을 찍어 보내오게하여 전세계 사람들을 놀라게 했던것이 71년11월이었는데, 75년8월20일에 '바이킹'(Viking) 탐사선1호를, 그리고 11개월후인 76년7월20일엔 2호를 화성을 향해 발사하여, 각각 11개월의 대여행 끝에 화성표면에 삽과 실험실을 싣고 연착륙시키는데 성공한것이다. 바이킹탐사선이 ...
풍력발전에 가장 열을 올리고 있다. 덴마크에는 5백여개의 소규모 발전기가 있고 85년말까지 미국에 4천여개의 풍력발전기를 수출하기도 했다. 서유럽 이외의 나라들로서는 인도, 중공 일본 등이 풍력발전에 필요한 입지(立地) 조사, 터빈설계등을 하고 있는데 이들 나라에서는 워낙 에너지 값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