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너무 많은곳, 너무 적은곳…. 평균수명 40세와 80세의 나라들. 지구촌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나.인구가 아주 적거나 감소하는 몇나라를 빼고 세계의 대부분의 나라가, 특히 개발도상국들은 열심히 가족계획을 한다. 이들 나라에서는 이것 저것 정부가 간여하지 않는것이 없지만 가족계획 ...
배우고 가르치는 교육의 영역에도 컴퓨터의 열기가 몰아친다. 우리는 컴퓨터에게 무엇을 배울수 있을까? 국내의 CBE(컴퓨터를 수단으로 한 교육) 개발은 어디까지 왔나?학생들의 책상에는 0, 1, 2, 3의 4가지 버튼이 있다. 1은 '잘 이해된다', 2는 '보통', 3은 '이해되지 않는다'를 의미하며 0은 리세트용 ...
열대에 속하면서도 무덥지 않은 섬.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공(人工)의 편리가 조화를 이룬 낙원. 이 낙원은 누가 만들었나. 그것은 땅속의 힘으로 이룩되었다.태평양 중부의 남동쪽에서 북회귀선을 따라 약 8백㎞에 걸쳐 점철되어 있는 1백30여개 섬의 '지상의 낙원' 하와이 제도. 이 섬들은 수심5천 수 ...
다시 각광받는 대덕연구단지 우리나라 초유의 기술도시(Technopolis)가 탄생하고 있다. 지난 74년 건설이 시작된 이래 진척이 부진했던 충남대덕연구단지가 최근들어서 부쩍 활기를 띠고 있어 머지않아 과학기술의 메카로 등장할 전망이다. KAIST와 종합과학관 등 '거물급' 과학시설의 입주가 확정된 ...
W.K. 뢴트겐, M. 퀴리, A. 아인슈타인, F. 생거, L. 폴링, B. 맥클린토크… 노벨상 수상자의 이름은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 같이 인류사에 빛나고 있다. 노벨상의 역사는 20세기과학의역사 바로 그것이다. 수상자 심사 노벨상이란 스웨덴의 발명가이자 화학자인 알프레도B.노벨 (1833~1896)의 유언에 따라 설 ...
석산(石山)과 아울러 풍화토로 이루어진 높은 토산(土山)이 많은 게 특징이다. 우리나라의 산은 흔히 토산(土山) 석산(石山) 야산(野山)으로 구분한다. 야산이란 고도 1백m 내외의, 평지위에 고립된 산을 말하는데, 본시는 비산비야(非山非野)의 뜻에서 비롯되었으니 일종의 구릉이고, 토산은 온통 흙 ...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는 알게 모르게 컴퓨터란 용어가 일상생활에 깊숙이 침투돼 있다. 컴퓨터 사진현상, 컴퓨터 세탁소, 컴퓨터 학교배정에서 부터 컴퓨터 TV, 컴퓨터 냉장고 등 가정용품에 이르기까지 컴퓨터란 말이 들어가지 않으면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간주되기 쉽다. 그러나 막상 ...
경기도 양평지방은 극한지대인가. 지난 1월 5일 양평지방은 우리나라 평지로서는 최저기온인 -27.2℃를 기록했다. 이에 앞서 81년1월5일엔 -32.6℃를 기록, 양평은 혹한지대의 대명사처럼 되었다. 양평지방의 극한기록 양평지방에 동토지대와 같은 극한이 몰아칠 첫 조짐은 81년1월1일의 폭설로 시작되 ...
키가 커져도 내적으로 성장하지 못한다면 결국 사회적으로 왜소 인간에 머물수밖에 없을 것이다. 어렸을때 또는 10대에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은바있는 1백16명의 '캐나다'인 남·녀에 대한 조사를 보면 키는 커졌으나 성인이 되고나서 사회적적응에 문제가 생겨 실업률은 보통사람의 3배나되고 결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