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허블 우주망원경이 뭘 그렇게 잘했길래 다들 이렇게까지 살리려고 노력하는 걸까요?가장 오래 살아남은 우주망원경인 허블 우주망원경은 100만 번 이상의 관측으로 천문학에 남긴 업적이 매우 많아요. 그중에서도 천문학자들이 손에 꼽는 업적 TOP5를 공개합니다! 1 우주의 가속 팽창과 암 ...
허블 우주망원경은 올해까지 합하면 벌써 8번 수리됐어요. 우주 비행사가 허블 우주망원경을 고치기 위해 직접 우주로 떠나거나, 수많은 기술자와 과학자들이 지상에서 컴퓨터로 허블 우주망원경을 조사하며 고쳤지요. 벌써 30년을 일한 허블, 만약 더 이상 고쳐지지 않는다면 앞으로 우주를 볼 ...
지구 위에 둥둥 떠서 우주를 바라보고 있는 허블 우주망원경, 한 달 동안 ‘먹통’이었다가 다시 지구의 과학자들과 연결되었어요. 벌써 몇십 년이나 일한 전 세계 천문학자들의 든든한 일꾼이지만 벌써 몇 번째 고장이었다고 하는데요, 허블 우주망원경에게 무슨 일이 생겼던 걸까요? 7월 17일 새 ...
성공적으로 발사되면 현재 지구 주위에서 우주의 심연을 들여다보는 우주망원경인 허블우주망원경(HST)의 뒤를 이어 빅뱅 초기 등 우주의 깊은 신비를 밝힐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10월에는 소행성과 태양계 탄생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로봇 고고학자’라는 별명을 지닌 탐사선 ‘루시’가 ...
안녕! 우리는 우주의 비밀을 파헤치는 우주탐사대야. 나는 대장을 맡고 있는 아인슈타인이지. 이번 탐험에는 새롭게 만들어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함께하기로 했어. 곧 우주를 향해 떠날 예정이거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특징부터 지금까지 수학으로 밝힌 우주의 비밀까지! 우리와 함께 ...
우리 탐사에 함께할 새로운 멤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소개할게.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어 우주를 관측할 차세대 우주망원경이야.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이 개발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오는 12월 18일(현지시간) 남아메리카 기아나의 고다드 우주비행 ...
존재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 등 공동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 관측 데이터와 컴퓨터 모델링 추론을 바탕으로, 글리제 1132 b의 대기가 화산활동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연구결과를 3월 9일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발표했다. arXiv: 2103.05657v1연구팀은 ...
별도 추진 장치 없이 지속적으로 지구 궤도를 돌 수 있다. 또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보다 100배 넓은 시야로 볼 수 있다. 노병 허블의 시대는 저물고 있지만, 그 뒤를 잇는 후임이 빈자리를 메우며 우주를 응시하는 인류의 눈이 돼 줄 것이다 ...
9번째 태양계 행성이 형성될 수 있는 새로운 시나리오를 제시하는데 성공했다.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이 2004년과 2017년에 촬영한 HD 106906 b의 위치를 기준으로 행성의 공전주기가 1만 5000년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HD 106906 b와 중심별인 쌍성계와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거리의 737배에 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