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분열보다는 핵융합을 통해 나오는 에너지가 훨씬 커요. 예를 들어 1kg의 우라늄-235가 핵분열을 하면 200억kcal 정도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요. 반면, 1kg의 수소가 핵융합을 할 땐 1500억 kcal 정도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원자폭탄부터 수소폭탄까지! ...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 입자인 양성자, 전자, 중성자로 쪼갤 수 있어요. 또 같은 원자라도 질량이 다를 수 있고, 핵분열 등으로 다른 원자로 바뀌기도 한답니다 ...
보통 원자력 발전에 이용하는 원자는 우라늄이에요. 우라늄에 중성자를 충돌시키면 핵분열이 일어나며 엄청난 열이 발생해요. 이 열로 물을 끓여서 수증기가 만들어지면, 이 수증기로 발전소의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답니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
속도를 제어한다.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원자로에서는 새롭게 만들어지는 중성자 수와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고 죽어가는 중성자 수가 같다. 이 상태를 ‘임계’라고 하며, 증배계수(k)가 1이라고 표현한다. k가 1보다 큰, 다시 말해 새롭게 생성된 중성자가 더 많아지면 제어봉을 더 많이 넣고, 반대로 ...
10월 4일. 여느 때와 다름없는 수요일 오전이었다. 필자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있는 의학연구위원회(MRC·Medical Research Council) 산하 분자생물학연구소(LMB·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에서 오후에 있을 전자현미경 실험을 위해 시료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복도 여기저기서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
제염을 하는 이유원자력발전소나 연구용 원자로 같은 원자력 시설에서는 운영되는 동안 핵분열 과정에서 발생한 중성자에 의해 방사성 핵종이 생긴다.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시설 내에 점차 축적되는데, 가동 기간이 길면 길수록 시설의 방사선 준위(방사선을 흡수한 양)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
만들었다고?! 현존하는 무기 중 가장 강력하고 치명적인 무기는 핵무기다. 핵무기는 핵분열이나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에너지를 이용한 무기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중에 인류 최초의 핵무기 개발에 성공했다. 여기에는 닐스 보어, 엔리코 페르미, 존 폰 노이만,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 ...
장수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 바로 노화다. ‘어떻게 하면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어떻게 천천히 늙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거쳐 결국은 ‘인간은 왜 늙는가’라는 원초적인 질문으로 수렴한다.인간은 왜 늙는가. 아주 어려운 질문이다. 그 누구도 이 질문에 대해 명쾌한 ...
부모로서 아이에게 유전병을 물려주는 것만큼 괴로운 일이 또 있을까요. 그래도 최근엔 막을 방법이 생겼습니다. 시험관 아기 시술을 통해 수정란을 만든 뒤, 이것이 4-8세포기(수정 후 2~3일)가 될 때 미리 유전자 검사를 할 수 있거든요. 검사를 통해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가 없다는 게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