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 대장균 유전자에 끼워 넣어 카다베린 수용체 단백질을 대량 생산했다. 그리고 이것을 탄소나노튜브 센서와 결합시켰다. 연어와 소고기 즙으로 실험한 결과 바이오 전자코는 액체에 녹아있는 카다베린을 100조 분의 1몰 정도의 아주 낮은 농도까지 감지해냈다. ● 3D 바이오 프린팅으로 만든 인공 ...
전문가들은 나노입자를 이용해 포유류처럼 미세한 촉각을 느낄 수 있는 나노 전자피부, 탄소나노튜브를 이 용해 실제 사람의 신경세포처럼 정보를 처리하는 인공두뇌, 전기저항이 작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해 마음대로 휠 수 있는 투명 전극 등 다양한 분야에 나노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유지범 ...
배열된 그물 형태를 말한다. 그래핀을 둥글게 말면 풀러렌이 되고, 원통 모양으로 말면 탄소나노튜브가 된다.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 이동 속도가 빠르다. 강도는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다. 또 신축성이 좋아 본래 면적의 20% 이상으로 늘어날 ...
감성을 자극하는 신소재 개발도 활발하다. 2. 소재, 에너지, 부품…나노연구자1991년 탄소나노튜브가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나노기술은 현대 과학기술의 ‘감초’ 같은 존재로 꼽힌다. 나노기술은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정도로 아주 작은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서 일어나는 ...
지구상의 가장 높은 건물이 1km까지 높아졌지만, 이것은 엘리베이터의 끝이 아니랍니다. 무려 3만 6000km나 올라갈 수 있는 우주 엘리베이터가 연구되고 있거든요. 과연 이것이 가능할까요? 값비싼 로켓을 대체할 우주 엘리베이터지난 2012년 일본 건설회사인 오바야시구미는 2050년까지 우주로 가는 ...
지나치게 부족해지면 광합성뿐 아니라 식물이 살아가는 데 지장이 생긴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잉크를 만들었다. 이 잉크를 기공 근처에 바르면 전류가 흐르는 전자회로를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기공이 닫힐 때마다 전류가 흐르고 기공이 열리면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만들어, 식물 ...
그 안쪽에 고에너지 레이저를 사용해 또 하나의 커튼을 만든다. 레이저 막 안쪽에는 다시 탄소나노튜브로 그물을 만들어 적이 쏘는 광선이나 포탄을 삼중으로 막는 보호막 아이디어였다. 하지만 플라스마를 높은 밀도에서 오랫동안 가둬놓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좁은 공간에 감금된 플라스마는 ...
탄소나노튜브(CNT·carbon nanotube)를 혼합한 복합재료를 추천한다. 일정 방향으로 정렬시킨 탄소나노튜브 때문에 강도가 월등히 높고 가벼운 티타늄 합금이 만들어 진다. 방탄 효과는 강철의 10배배트슈트는 단순히 SF(공상과학)영화에만 존재하는 기술이 아니다. 최근 각종 나노소재를 적용한 ...
찾는 방법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폭발물의 주성분인 TNT와 반응해서 적외선을 내뿜는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개발했어요. 그 다음, 이를 시금치의 잎사귀에 발랐답니다. 시금치 뿌리가 TNT가 섞인 물을 잎사귀로 전달할 거라고 생각한 거죠. 또한 연구팀은 시금치 잎에서 적외선이 나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