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한다. 이런 방법으로 수평력에 저항하는 구조를 강구조(強構造)라고 한다. 20층이상 초고층건물은 유구조(柔構造) 이에 반해서 유구조는 20층 이상의 초고층건축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법으로서 주체구조부를 철골로 구성해서 지진에 의한 파괴력을 각 부재가 각각 흡수해서 흘려 버리도록 하는 ...
지진정지기에 들어간 것으로 간주된다.수도 서울은 그동안 인구의 집중과 산업시설 특히 초고층건물 지하철 교량 지하터널지하시설물(가스 전기 전화 및 저장시설)의 팽창으로 지반이 매우 약화돼 있다. 더욱이 이러한 주요 구조물에 내진설계 규정의 법적 강화가 전혀 없는 상태다.따라서 ...
금세기 중으로 5백m벽이 돌파되면 21세기 초에는 1천m, 5백층이 넘는 수직도시가 잇따라 세워질 것이다. 1950년경 프랑크 로이드 라이트가 1마일 높이의 건물을 제안한 이래 미국 시카고에는 현재 세계 최고 층의 시어즈타워(1백10층, 4백42m) 건물이 세워져 그 위용을 떨치고 있다. 최근 높이 5백90m 1백25 ...
수직으로 솟은 마천루의 숲은 사람들에게 첨단기계문명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화려한 도시경관을 보여주지만, 그에 따르는 교통 환경 주거 등의 문제도 만만치 않다.게리 쿠퍼 주연의 '마천루'(摩天樓)와 폴 뉴먼 주연의 '타워링'에서 고층건물의 모습을 나름대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다.바벨탑을 ...
4대 건설회사가 최근 발표된 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DIB(Dynamic Intelligent Building)이 초고층건물은 가시마(鹿島)건설이 21세기에 예상되는 문제들의 해결책으로 최신 신기술들을 모아 내놓은 건물. 안전성 거주성 의장성이 뛰어나 미래도시로서 손색이 없는 계획이다. 직경 50m, 기준층 면적 2천㎡인 ...
모든 필요한 자료와 기기가 컴퓨터에 미리 입력되고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아마 미래의 초고층건물은 작용하는 힘에 의해 인간과 같이 능동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아마 필요에 따라 그 형태까지 변경시킬 수 있는 생물화한 건물이 될 것이다. 업다운공법과 로봇이용고도의 설계기술로 설계된 ...
현대의 고층빌딩은 「높이」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급속도로 발전하는 전자문명을 흡수해 「지능」도 동시에 갖춘다.인텔리전트 빌딩(IB, Intelligent Building)은 컴퓨터 통신 제어기술을 이용하여 건물의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하면서 새로운 정보통신 서비스, 사무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21세기 ...
비슷한 형태를 나타낸다.이외에도 다른 여러 구조시스팀의 개발이 추진되고는 있으나 초고층건물이 주변의 도심환경에 주는 중대한 영향 등 여러 여건으로 당분간 2백층 정도의 초고층화만이 진전되리라 생각된다. 첨단건축과 신소재 개발건축물이 이처럼 고층화되고 있으나 그 구조체의 재료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