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1970년대부터 카파렐리 교수와 자주 연구한 산드로 살사 이탈리아 밀라노 폴리테크니크대학교 명예교수가 한 말입니다. 카파렐리 교수의 연구 결과들이 PDE 연구에 끼친 영향이 대단하다고 평가한 건데요. 놀랍게도 카파렐리 교수는 PDE를 박사 졸업 후 알게 됐고, ...
계량적으로 검증하려 시도하기 전까지는. 이론물리학자인 알레산드로 플루치노 이탈리아 카타니아대 물리천문학과 교수가 바로 그런 시도를 한 연구자 중 한 명이었다. “2009년 우연히 ‘피터의 법칙’을 읽고, 이 법칙이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인지 알아보고 싶었어요. 그래서 다른 물리학자와 ...
허수에 대한 논의는 가우스 이전에도 존재했어요.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탈리아 수학자 지롤라모 카르다노(1501~1576)가 삼차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처음 제곱근 안에 음수가 있는 수를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우스가 1799년 박사 논문에서 모든 복소수 계수를 가진 방정식의 해는 ...
두 공을 떨어뜨려 두 공이 거의 동시에 지면에 떨어진다는 것을 보여줬다. 이 일화는 이탈리아의 수학자 빈첸초 비비아니가 쓴 갈릴레이 전기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비비아니가 누구인가. 갈릴레이의 마지막 3년을 함께 한 제자였다. 그만큼 이 이야기는 꽤 믿을 만해 보인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
해와 같이 밤하늘을 올려다보던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자신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 3개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갈릴레오는 이 사실을 1610년 1월 7일 편지에 남겼어요. 목성의 위성들이 처음으로 발견된 순간이었죠. 이후 1월 13일, 목성에서 위성을 하나 더 ...
길로 새고 말았고, 여우와 고양이 등 나쁜 친구들을 만나 긴 모험을 하게 돼요. 1883년 이탈리아 작가 카를로 콜로디가 쓴 동화 ‘피노키오’의 줄거리예요. 이야기의 주인공 피노키오는 목수인 제페토가 잣나무를 깎아 만든 인형이에요. 거짓말을 하면 코가 길쭉하게 늘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
측정하기 위해선 언제나 일정하게 반복되는 것을 기준으로 삼아야 해요. 16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천장에서 흔들리는 샹들리에★를 관찰하다가 신기한 원리를 발견했어요. 샹들리에가 양옆으로 움직였다가 제자리로 돌아오는 시간이 일정하다는 거였지요. 샹들리에처럼 줄에 ...
나는 대부분 화성과 목성 사이에 살아. 크기는 수 m에서 수백 km에 이르지.난 1801년, 이탈리아 천문학자 주세페 피아치가 처음 발견했어. 내 존재가 새롭게 발견되면 그 시기와 순서에 따라 국제소행성센터(MPC)에선 내게 임시번호를 부여해. 내 궤도가 확실해지면 그땐 진짜 이름을 선물 받지. ...
회원인 아나 베켄호르스트 연구원이 시작을 알리며 엄숙한 목소리로 말했어요.“전 지금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언덕에 갇혀 있습니다. 여러분도 아름다운 어딘가에 갇혀 있겠죠. 이그노벨상 시상식이 하버드대 샌더스극장에서 열릴 땐 가까운 비상구 위치를 확인하라, 휴대폰을 무음 모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