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글리에 의해 적외선과 자외선의 존재가 밝혀진다.이후로는 1895년 독일의 뢴트겐이 음극선을 연구하다 눈에 보이지 않는 광선을 발견하고 X선이라고 불렀다. 또 프랑스의 베크렐과 폴란드의 퀴리부부에 의해 1896년과 1898년 잇따라 우라늄과 라듐에서 방사선을 발견하면서 가시광선보다 훨씬 짧은 ...
가져서는 안된다고 경고한다."온라인에 들어가 있을 때 나는 혼자 방에서 키보드를 치며, 음극선 튜브를 응시한다. 나는 방에 있는 어떤 사람도 무시한다. '온라인에 있음'이란 것의 본질은 '나는 다른 사람과 함께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인터넷 심리학의 창시자 셸리 터클사람 모이는 곳에 오락이 ...
전자빔의 파장은 0.05Å로 매우 짧기 때문이다. 전자현미경은 광원대신 전자총(음극선관)을 사용하고, 유리렌즈 대신 전자빔을 모으는 전자렌즈를 사용한다는 것뿐 광학렌즈와 그 원리가 크게 다르지 않다.전자현미경에는 투과형(TEM)과 주사형(SEM)등 크게 두종류가 있다. 투과형은 전자를 물체에 ...
추론하여 전자기의 질량 개념 제시1884년●왕립학회 회원이 됨1894년●광속도에 비해 음극선의 속도가 아주 느린 것을 발견1897년●전자 발견.1899년●전자의 전하량 측정. 전자와 수소이온의 전하량이 동일함을 발견. 전자와 광전효과에서 방출된 입자의 e/m이 동일함을 증명1903년●'기체를 통한 ...
생기는 빛을 굴절시켜 문자 등을 띄워준다. 액정화면은 데스크톱 모니터로 사용하는 음극선관(CRT)보다 전력 소모가 적고(소비전력 2.3W), 선명한 색상을 표시한다는 장점이 있다. 무게는 대략 6백g.노트북에 사용되는 액정은 오랫동안 10.4인치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PC 환경이 윈도를 기반으로 한 그래픽 ...
독일 물리학자들은 크룩스관 주변에서 발생하는 발광현상을 목격했다. 그러나 그들은 음극선의 성질을 연구하는데 그들의 관심을 집중하는 바람에 발견의 기회를 놓쳤다. 특히 레나르트의 창문실험은 X선 발견에 가장 근접했던 실험이었으며, 실제로 레나르트는 뢴트겐이 히르토프-크룩스관을 ...
아들인 G.P. 톰슨은 1937년에 수상했다.아버지 톰슨은 그때까지 진공방전의 실험 가운데 음극선이라 불리던 방사선의 본체가 미립자(질량을 가지며 그 실체가 좁은 공간영역 속에 집중하여 존재하고 있는 것)임을 실험적으로 증명했고, 아들 톰슨은 그 전자가 간섭이라고 하는 파동성을 나타낸다는 ...
같은 바이오세라믹스 분말성분을 섞어 만들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했다. 브라운관의 음극선관은 바로 브라운관의 전자파가 발생되는 곳이다.이같은 방법에 의해 상온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양은 대략 5.6㎛-1천㎛ 범위. 상온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된다는 것은 텔레비전 시청 때 뿐만 아니라 ...
발견되지 않았던 터이라 이 새로운 입자는 처음에 별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러나 결국 이 음극선이 스토니(J. Stoney)가 1891년 명명한 전자(electron)의 흐름이라는 것을 발견한 공으로 톰슨은 노벨상을 타게 되고 후에 전자의 질량은 수소원자 질량의 1/1836으로 측정됐다. 첫번째 아원자입자의 탄생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