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에서도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대표적으로 광센서의 경우 매우 얇게 만들어 웨어러블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다. 가령 당뇨병 환자의 약 4분의 1은 합병증으로 혈액순환 장애를 겪으면서 손가락과 발가락 끝이 괴사하며 검게 변하는 당뇨성 창상을 앓는다. 하지만 자신의 손발이 괴사하고 ...
바탕으로 ‘후두암 수술 후 성대를 잃은 사람이 다시 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만들었다. 이것으로 1년 내내 친구와 둘이서 학내는 물론이고 학교 밖 경진대회까지 휩쓸고 다녔다. 지금은 코로나19로 학교 공작실이 폐쇄돼 작업을 거의 못 하고 있지만, 학교가 문을 열면 다시 ...
체내로 집어넣는 바이오이미징 분야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카드뮴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웨어러블이나 모바일 기기 적용이 연구 중인 퀀텀닷 태양전지 역시 예외가 아니다. 2013년 일본의 전자업체 소니가 내놓은 최초의 퀀텀닷 TV는 1년 만에 시장에서 철수됐는데, 카드뮴을 사용한 탓에 판매가 ...
실험 참여자 혼자 장갑을 끼는 데 딱 20초가 걸린 것을 확인했지요. 이처럼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는 스스로 착용할 수 있는 등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게 중요해요. 매번 의존해야 하는 환경을 만들면 장애인의 자존감이 떨어질 수 있거든요. Q 로봇 장갑 디자인에 또 기여한 ...
2019년 8월 확정 발표한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돌봄, 웨어러블, 의료, 물류 등 4개 분야의 서비스 로봇을 개발해 2023년까지 15개 지자체, 810개 수요처에 1만 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물론 이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AI 헬스케어 로봇을 개발하고 있는 김문상 GIST ...
보조로봇 기술을 겨루는 국제대회인 ‘사이배슬론’ 대회 출전을 준비 중인 한국의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 슈트’를 만났습니다. DNA vs. RNA, 무엇이 다른가☞바로가기(84p)20세기 생물학은 ‘유전자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과학자들은 생명의 신비가 유전자에 숨어 있다고 생각했고, ...
꿈은 크다. 웨어러블 로봇을 신체에 완벽히 숨겨 장애가 드러나지 않게 하고 싶다. 또 웨어러블 로봇을 패션처럼 착용할 수 있게 만들고도 싶다. 언제쯤 이런 시대가 올까. “보통 하나의 기술이 온전히 자리 잡는 데 30년 정도 걸린다고 예상하잖아요. 15년쯤 지나면 지금 과학동아 독자들 가운데 ...
쉽게 들기 위해 몸에 착용하는 기기를 ‘웨어러블 로봇’이라고 하지요. 그동안 많은 웨어러블 로봇이 개발됐지만 영화와 달리 걷기와 달리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로봇은 없었어요. 그 이유는 걸을 때와 달릴 때 사용하는 근육과 관절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지요.그런데 8월 15일, 미국 하버드대학교 ...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86-019-1119-1 연구팀은 올해 8월 페이스북과 공동으로 개발한 웨어러블 뇌-컴퓨터 접속기술 장치도 공개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뉴럴링크(Neuralink)도 올해 7월 원숭이를 대상으로 뇌-컴퓨터 접속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필자가 속한 울산과학기술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