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율 파이를 구별하려고 학습하고 있어. 인간의 뇌 신경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인공신경망을 사용하면 먹는 파이와 원주율에 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두 가지를 구분할 수 있거든! 어린 아이가 고양이와 개를 볼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름을 들으면서 둘을 구별하게 되는 것처럼 말이지! 나는 이 ...
열리는 날! 에프매스가 행사에 참여할지 말지 AI로 예측해보는 문제를 풀어봅시다. 인공신경망을 구성하는 함수에 데이터를 넣어 계산한 결과를 토대로 판단을 내리죠. 에프매스가 행사에 가기 위해 고려하는 사항이 날씨(x1), 함께 갈 친구(x2), 행사장에 한 번에 갈 수 있는 대중교통(x3)이라고 ...
인공신경망은 활성화 함수를 포함한 여러 개의 인공 뉴런 층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인공신경망의 층을 구성하는 인공 뉴런을 ‘노드’라고 부르는데, 하나의 노드는 입력 신호를 받아 다른 층으로 결과를 전달하는 하나의 함수로 볼 수 있습니다. 입력 신호 x를 받아 y를 출력하는 경우는 y=wx+b로 ...
딥러닝이라는 함수가 드디어 실제 영상인식, 음성인식 등의 문제를 잘 해결하는 인공신경망 함수를 출력해 낸 것이죠. 저는 딥러닝이라는 함수를 공부하고 있어요. 함수의 세부적인 특성을 더 잘 알면, 어떻게 해야 같은 상황에서 더 좋은 출력물을 만들 수 있을지 힌트를 알 수 있답니다. 딥러닝에 ...
활용한 신경기계번역(NMT) 기술이 대표적이다. 사람의 뇌신경망을 수학적으로 흉내낸 인공신경망은 함수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딥러닝 기술에 적용된다. 이때 사용하는 함수는 상황에 따라 변수가 갖는 확률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분포함수다.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할 때 쓰는 확률분포함수 p(e ...
나왔습니다.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UC버클리)와 구글 공동 연구팀은 ‘심층신경망’이라는 기계학습 기술을 사용해 북미, 중남미,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등 144개국 사람들이 올린 약 600만 개의 유튜브 영상 속 표정을 분석했습니다. 그리고 놀라움, 슬픔 등 16개의 감정과 연관 있는 표정을 ...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에 방대한 이미지 빅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게 되면서 합성곱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인식 AI가 사람들의 시각 능력을 뛰어넘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
딥러닝, 그중에서도 합성곱신경망을 주로 사용하죠.이미지 인식 AI를 위한 합성곱신경망은 데이터의 특성을 다차원 형태로 나타냅니다. 여기서 각 차원에 대한 데이터 특성은 물체를 구별하는데 활용할 수 있어요. 사과와 오렌지를 예를 들어 설명해볼게요. 사과와 오렌지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색, ...
찾은 가장자리 정보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정보의 크기가 크게 줄어듭니다. 4 합성곱신경망③ 이미지 분류앞의 과정을 거쳐 얻은 물체의 특징을 이용해 이미지를 분류하는 과정입니다. 합성곱층과 풀링층 단계를 여러번 거치면서 정보가 충분히 작아졌기 때문에, 이번에는 각각의 숫자를 자세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