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다.약 6천여점에 달하는 벽화는 석기시대의 생활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고기잡이, 사냥, 말떼, 사슴 그리고 사람들의 춤추는 모습등이 많이 그려져 있다. 고고학자들은 이곳에서 그림의 발견에 이어 석기시대에 쓰던 수많은 도구들도 발굴해내고 있다.이 일대는 소련에서 피서지로도 유명해 ...
한다. 이때부터 독립생활이 시작된다.코뿔소의 번식은 이렇듯 느린데 사람들이 마구잡이 사냥을 했으니…. 원래대로 그 수가 회복되려면 상당히 오랜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
이주민들과 인디언간의 싸움은 더욱 치열해졌다.이때 말을 잘 타는 총의 명수가 들소사냥의 전문가로 등장하는데, 저 유명한 ‘버팔로 빌’이다.아메리카에선 들소를 버팔로(buffalo)라고 부른다. 버팔로란 원래 물소를 말하는 것이고 들소는 바이슨(bison)으로 칭해야 옳다. 따라서 정확히 말하자면 ...
한다. 그렇다면 이 땅에서 들소나 마스토돈이 멸절한 뒤쯤에 해당된다. 그들은 새나 다른 사냥감을 찾아 동쪽으로 이동했다는 의미인것 같다. 왼쪽의 또 한사람의 인물은 1천년전쯤에 새로 그린 것으로 보인다. 같은 크랑의 인디언이 동쪽에서 되돌아왔다는 뜻인것 같다.이렇게 아메리카대륙의 ...
어떻게 해야 하나? 30년전 나는 논문을 하나 썼는데 이것은 제목이 ‘우주에서의 큰 사냥’이라는 것으로 1959년 8월호 ‘우주시대’라는 잡지에 게재되었다.이 글에서 나는 지구에 다가올지 모를 몇피트 이상 크기의 물체를 감시할 우주초소의 설립을(설립할 능력이 있을 때) 제창했다. 지구에 ...
살을 자르는데 쓰였을 것으로 보이는 예리한 돌이 발견됨에 따라 원시인들은 적어도 사냥한 동물들을 익혀서 먹었음이 밝혀졌다.당시 생활상을 추적하는 중요한 단서중의 하나는 현미경을 통해야만 겨우 확인할 수 있는 꽃가루.'제2굴'의 꽃가루를 분석한 결과 두루봉에는 추운 기후에 잘 견디는 ...
생활 환경을 따질 수 있게 되었다(용굴 두루봉 상시바위 그늘). 또 짐승뼈를 가지고 사냥된 짐승의 종류를 알아내고 나이와 마리수를 헤아리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그 짐승들로부터 얻어지는 고기의 양을 합산, 영양분의 부피를 산출한다.살림터의 너비나 사람수를 따져 몇사람이 얼마동안 ...
식별한다. 성장한 진드기는 따뜻한 물체 위에 떨어진다. 따뜻한 피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사냥감에 낙한한 뒤에는 촉각의 도움을 빌어 되도록 털이 적은 곳을 찾는다. 이어 먹이의 살갗 속에 머리를 쳐박고 따뜻한 피를 몸 속으로 빨아들인다. 그러면 진드기는 '미식가'일까?피 이외의 액체를 쓴 ...
최근에는 토끼사냥을 해야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으나 이곳에는 숨을곳이 너무 많아 사냥이 쉽지 않을 것이다. 어쨌든 외지에 뛰어든 동물들이 보호를 받기는 커녕 학대받아야 할만큼 잘 적응한것이다. 다른곳도 아닌 남극주변에서 이처럼 번성한 토끼나 쥐 고양이의 능력은 대단한 것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