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이공계 학생들에게는 익숙한 이름인 빌헬름 뢴트겐, 알프레드 베르너, 볼프강 파울리, 리처드 에른스트도 눈에 띈다. 그렇다면 스위스의 작은 도시에 위치한 이 대학의 저력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ETH가 세계적인 석학을 유치하기 위해 들이는 비용은 상상을 ...
발견한 공로로 1901년 노벨물리학상을 탄 빌헬름 뢴트겐은 1895년 기자회견에서 “드디어 아내가 보인다”고 소감을 밝혔다. 약지에 결혼반지를 낀 아내 안나 베르터의 손가락 뼈가 드러난 사진을 두고 한 말이다.1895년 말 뢴트겐은 아내의 손을 들여다본 것을 시작으로 사람의 몸속을 들여다보는 ...
들여다볼 수 있다.X선, 그 위대한 발견2005년 11월 8일은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콘라드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지 100년 되는 날이었다. 뢴트겐은 진공관으로 음극선을 연구하다가 감마선과 자외선의 중간 파장을 가진 전자파를 발견했다. 그동안 알지 못했던 이 전자파를‘X선’이라고 이름 붙였고, ...
물질의 결정 구조 분석은 1백여년 전부터 시작됐다. 1895년 독일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후 1912년 막스 폰 라우에가 최초로 X선 회절을 이용해 결정구조를 밝힐 수 있다고 예측했고, 같은 해 X선 회절무늬 사진 촬영이 실제로 성공했다. 1950년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하는데도 X선 ...
마리 스크로도브스카가 결혼한 것은 1895년이었다. 이 해는 독일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의 X선 발견으로 물리학계가 떠들썩하던 때이기도 하다. 또한 이듬해에는 X선 방사 형광 물질을 연구하던 앙리 베끄렐이 기체를 이온화시키고 전기나 자기에 의해 구부러지는 우라늄 방사선을 발견하게 된다 ...
X선의 의학적 중요성을 재빠르게 알아차리고 뢴트겐에게 강연을 요청했다. 학계뿐만이 아니라 독일 ... 언론들도 이 놀라운 발견을 대서특필했다. 뢴트겐은 일약 세계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 1월9일에는 카이저 빌헬름 2세로부터 이 새로운 발견을 치하하는 축전이 날아왔다. "본인은 우리의 조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