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첫 번째 문턱은 우주의 시작인 대폭발이다. 빅뱅 이론에 따르면 약 138억 년 전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작은 공간이 폭발하면서 우주가 탄생했다. 두 번째 문턱은 혼란하기만 했던 우주 공간에서 일부 물질이 뭉쳐 생겨난 별을 다룬다. 세 번째 문턱은 별의 폭발로 생겨난 ...
눈으로 볼 수 없다면 수학적으로 우주의 모양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에 쓰이는 수학은 위상수학이다. 위상수학은 물체의 모양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다. 쉽게 말해, 구멍의 개수에 따라 물체를 분류한다. 구멍의 개수가 같으면 같은 물체로 본다. 예를 들어, 구 ...
온도가 어디서나 같다는 사실은 빅뱅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었다. 이는 앨런 ... 급격하게 팽창 했다는 이론이다. 빅뱅 이론에 이를 더하면 온도가 균일했던 초기우주가 순식간에 너무 커져버려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날아온 우주배경복사가 거의 같은 온도라는 게 설명된다. 그런데 급팽창 이론에 ...
빼꼼. 저 멀리 담 너머에 보이는 우주를 몰래 바라봅니다. 하늘을 수놓은 아름다운 별들의 모습에 눈이 초롱초롱해집니다. 호기심이 생긴 한 아이는 갑자기 우주가 어떻게 생겼을지 궁금해졌습니다. 재잘재잘. 옆에 있던 아이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주고받아보지만 답이 쉽게 나오지 않네요. 누 ...
과학자들은 우주 공간이 무한하다고 가정하고 있다. 송용선 한국천문연구원 이론천체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우주가 무한하다는 증거는 없지만, 아직까지 ... 분석하면 우주에 물질이 어떻게 퍼져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를 이론으로 계산한 우주의 임계 밀도(Ω0)와 비교하면 우주가 어떤 모양인지 ...
확률과 무작위성에 대한 다양한 통찰을 적은 책이다. 학자들뿐만 아니라 이론 물리학자이자 ‘사회적 원자’의 저자인 마크 뷰캐넌과 유명 ... 내게 자유의지가 존재하는가(4장) 같은 철학적 의문과도 마주친다. 결국엔 빅뱅 직후로 돌아가, 대체 어떤 우연한 사건들이 지금의 우주와 ‘나’의 존재를 ...
10-36초부터 10-32초까지 우주가 급팽창했다는 이론으로, 1980년대 이전까지 빅뱅이론이 지녔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사실 인플레이션은 자연상수의 60제곱 정도의 팽창을 의미하지만, 실제로 이를 재현하는 건 불가능하다(만약 지름 1nm인 기체 덩어리를 이 배율로 ...
충돌시키면 1조℃가 넘는, 태양보다 수백 배 뜨거운 온도 상태가 되는데, 빅뱅 후 수 ms(밀리 초, 1ms는 1000분의 1초) 이후의 온도가 그 정도다. 이런 ... 않다거나, 여러 종류가 있다거나. 아직 가능성이 열려있다.Q 입자물리학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초대칭성을 찾으려 했지만 발견하지 못했다던데, ...
정도만 다를 뿐, 전문가도 아직 빅뱅에 대해 다 모르는 건 마찬가지였다 ... 탄생을 달리 쓸 수 있는 독창적인 이론을 소개했다. 우리가 아는 시간과 ... 감염의 모든 것을 설명한다. 빅뱅이론보다는 쉬울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