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수명이 길어 약 3천만년 정도가 되고 마지막 단계에서 초신성 폭발을 거친 후 블랙홀이 아니라 중성자성(中性子星)으로 되는 것이 다른 점이다. 중성자성은 태양정도의 질량을 가진다해도 반경은 10km밖에 안되는 초고밀도의 별이다. 여기서 전자는 원자핵 속의 양성자에 흡수되어, 양성자는 ...
한라산만한 크기밖에 안되는 중성자성(中性子星)과 무한한 수축끝에 빛마저 삼켜버리는 블랙홀 등이 모습을 드러낸다. 이 모든 별들은 끝없이 진화하고 있다. '영원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긴 시간 동안이지만 별들은 탄생과 성장과 죽음을 되풀이하고 있다. 이 거대한 드라마가 펼져치는 무대가 ...
입자와 열을 방출하고 증발한다는 '호킹'의 효과가 작용하는 것이다. 태양 정도 질량의 블랙홀이 증발하는 데는 ${10}^{64}$년이 걸린다고 한다. '닫힌 우주' '열린 우주' '평탄 우주'우주는 이상에서 살펴본대로의 팽창을 무한이 계속할까? 여기에 대해서는 3개의 시나리오가 있다. 즉 팽창과 수축을 ...
같게 놓아 준고전적 식으로 기대하곤 한다. 예를 들면 플랑크 질량보다 훨씬 무거운 블랙홀의 양자 증발에 기인한 시공 배후의 반작용의 계산이 이에 속한다. 이는 일찌기 '묄러'(Möller)와 '로젠펠트'(Rosenfeld)에 의해 시공 기하는 양자화 되어서는 안되므로 위의 입장이 맞는다는 뒷받침에 기인했다 ...
홀이 될 수 있다-이것이 당시 과학자들의 최고의 예언이었기 때문이다. 세계를 놀라게한 블랙홀 이론 그런데 펜로스는 둥글지 않아도, 즉 타원형이나 바나나 같은 모양이어도, 회전하는 별이라도 모두 블랙 홀이 된다는, 블랙 홀의 필연성을 주장해서 세계 천문학자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이 ...
최소한 천배나 큰 블랙홀이 있을지 모른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어떻게 그처럼 큰 블랙홀이 생길 수 있는지는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우주의 끈'이다. 우주창조의 대폭발을 연구하던 물리학자들이 수학적으로 도출해낸 이 '끈'은 1차원의 형태(선)로서 무한히 긴 끈 혹은 고리 ...
관측되므로 그 밝기는 사실상 0이다. 즉 별이 외부에서는 관측 불능이다.백조자리 X-1은 블랙홀외계여행에서 검은 구멍을 만날 위험성은 얼마나 클까? 검은 구멍의 크기 ${R}_{G}$는 별의 질량 M에 비례하고, 또 대개의 별은 태양의 60배를 넘지 않음으로 위험구역의 크기는 지름으로 약 4백km 이하일 ...
씨앗이 너무 작으면 오늘날까지 제 크기로 자랄 수 없고, 또 너무 일찍 크면 검은 구멍(블랙홀)으로 수축해 버려서 남는 것이 없다.'인플레이션' 우주론의 대두1981년 미국의 젊은 물리학자 '구스'가 발표한 '인플레이션'우주의 이론은 '프리드만' 우주가 품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한꺼번에 해결할 ...
△ 1933. 케임브리지대학박사(이론물리) △ 1937~시카고대학서 연구, 현재 명예교수 28세때 블랙홀 예언 찬드라세카르는 천체물리학 분야의 이론 연구자로 별의 진화에 관해 많은 연구업적을 남겼다. 그의 50년간에 걸친 연구생활은 별을 이론적으로 살펴가는 생활이었다. 그는 28세 때 이미 '블랙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