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오수정(紫烏水晶)으로 만든 안경은 그만 못하다고 기록하고 있다.또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기본원리를 소개했다. 그는 이 두 종류의 렌즈를 이용, 노안경(老眼鏡) 장안경(壯眼鏡) 중로안경(中老眼鏡) 근안경(近眼鏡)을 만들 때 각각의 안경에 적합한 렌즈의 종류를 지정하기도 했다. 또 확대경을 ...
씻어낸다.가벼운 근시(2디옵터이하)나 원시를 가진 사람이 쓰고 다니는 오목렌즈나 볼록렌즈는 두께가 그다지 두꺼워지지 않는다. 또 모양도 괜찮다. 그러나 중등도 이상의 근시나 원시인 경우 렌즈의 두께가 두터워져서 외관상 보기 싫게 된다.그러나 최근 이런 문제가 거의 해결되었다. 두꺼웠던 ...
너무 빨리 수렴시킨다. 따라서 근시안에 오목렌즈의 안경을 덧붙이면 그것은 수정체(볼록렌즈)의 수렴효과를 감소시켜 상을 망막 위에 맺히게 하므로 잘 보이는 것이다.9. (3) 렌즈의 배율(물체의 크기에 대한 상의 크기의 비)은 렌즈에서 물체까지의 거리에 대한 렌즈에서 상까지의 거리의 비와 ...
사진을 찍을 수 있을까? 결국 새로운 렌즈를 달아주는 수밖에 없다. 새 렌즈 후보로는 볼록렌즈 콘텍트렌즈 인공 수정체 등을 꼽을 수 있는데 현재 인공수정체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수술은 수술현미경을 사용하여 진행된다.여기에는 기존의 낭외적출술과 최신의 유화흡인술이 있다. 낭외적출술은 ...
이르기까지 연대순으로 진열돼 있다. 1910년대에는 석유등으로 광파신호를 보냈는데, 볼록렌즈를 부착해 30리 밖까지 빛이 도달하도록 만든 것도 있다. 무인등대용의 등명기(등대불)를 보면 1930년대에는 가스, 50년대는 배터리를 사용, 24시간 켜놓았으나 70년대 후반에는 태양전지로 교체돼 날이 ...
일찌기 한 똑똑한 파리사람이 대포시계를 고안했다. 정확하게 12시에 맞춰놓은 해시계 볼록렌즈를 작은 대포의 포문에 끼워넣었다. 그후로 태양이 머리 위에 머무는 정오 무렵이면, 태양빛에 의해 대포가 자동적으로 예포를 쏘아올리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786년 ‘오를레앙’공작은 파리의 궁전 ...
안경에 렌즈를 사용하도록 착안하였다. 그는 또 렌즈를 조합하여 효과를 거두기도 했다. 볼록렌즈안경이 제작된 것은 13세기 후반으로 당시 유리공업의 중심지인 이탈리아의 베네치아에서 만들어졌다. 조명설비가 아직 발달하지 않아서 독서시간도 낮으로만 한정됐던 당시, 중년 이후의 독서연령을 ...
알아볼 수 있다. 그리고 이 효과에 더하여 하와이제도 주변의 천해(淺海ㆍ얕은바다)가 볼록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여 파도를극동 쪽으로 집중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하나 중요한것은 칠레해일의 파도원은 대륙 가까운 경사면 위에 있었으나 굴절관계로 해안선 내지 등심선과 직각인 방향에 ...
소요지를 형성하면서 생장을 계속하여 마침내는 습원이 부풀어 올라서 습원 전체가 볼록렌즈 모양이 되는 것이다. 높은 지역에 있는 것을 고층습원, 낮은 곳에 있는 것을 저층습원이라고 오해하는 사람도 있다. 민통선 지역의 대암산정에 위치하고 있는 큰용늪은 바로 이러한 독특한 발달과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