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먼지 투성이의 성운(星雲)을 관찰하는 사진의 망원경이름은 제임스맥스웰 클라크. 이 망원경은 적외선파와 무선전신파 사이의 mm이하의 파장으로 조작이 된다. 감수성은 대단히 예민해 달위의 돌멩이까지도 볼수있고 우주공간의 분자구조까지 밝혀낼 수 있다고. 망원경의 핵심부분은 직경 1 ...
때는 1873년으로 실험물리학자인 '카벤디시'(1731∼1810)의 이름을 따왔다. 초대소장이 'J.C. 맥스웰'이 취임하여 1874년에 문을 열었는데 'J. 렐리' 'J. 톰슨'의 뒤를 이어 1918년 'E. 라더포드'가 소장이 되면서 황금기를 맞았다. 이미 19세기말에 카벤디시에 모여든 연구자가 2백여명이나 돼 때마침 물리학의 ...
인간의 동력수요에 충당하는 전기문명의 시작을 알리는 종소리였다. 이어 영국의 과학자 맥스웰(1839~79)은 전기와 자기에 관한 연구들을 체계화하여 전자기학을 완성하였고, 아울러 전자장(電磁場)의 이론도 구축하였다.패러데이의 전자유도 현상의 발견은 모터(전동기)를 출현시켰고, 나아가서 ...
회절현상(回折現象)을 모두 파동설로 설명할 수있었다. 더우기 이 무렵 영국의 물리학자 맥스웰(1831~79)이 자신의 전자기파(電磁氣波)이론을 근거로, 빛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반사 굴절 편광 등에 있어서 전파와 다름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그후 독일의 물리학자 헤르츠(1857~94)에 의해서 ...
변치않는 욕망을 가져 왔다. 뉴턴은 지상과 천계의 운동을 만유인력으로 설명했으며 '맥스웰'은 전기장과 자기장이 동일한 개념임을 입증했다.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 시간과 공간의 통일에 성공한 아인슈타인은 아쉽게도 중력장과 전자기장을 통일시키려는 시도에 실패하고 말았다.힘의 통일을 ...
전자기현상에 관한 '전자기이론'에서 가장 그 본분을 발휘한다. '패러디'(Faraday), '맥스웰'(Maxwell)등에 의해 19세기에 완성된 전자기학은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이론에 의해 비로소 완전한 이론이 되었던 것이다. (이것을 이해하려면 적어도 대학원 과정에 들어가야 한다.) 중력현상을 설명하는 ...
지배하고 있는 두개의 방정식 즉 중력파가 도출된 아인슈타인의 방정식과 전파가 도출된 맥스웰의 방정식은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는 동류배인 것이다.지극히 에너지가 작다 그러나 방사에너지를 계산해보면 양자사이에서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보통조건에서는 전파의 에너지가 압도적으로 크다. ...
산업혁명에 큰 몫을 한 증기기관의 연구 때문인지 열역학에 큰 비중을 두고 있었다. '맥스웰'(Maxwell)과 '패러데이'(Faraday)같은 석학에 의하여 전자기현상의 이해가 이루어진 뒤라 온통 열현상에만 치중하고 있는 시대였으며 흑체복사(黑体輻射)의 열역학적 연구가 그 중심 과제로 부상된 시대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