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다. 그리고 대기도 안정되어 있어 핼리혜성을 바라보기에는 그야말로 적합하다. 망원경으로 본격적인 관측은 어려우나 다만 보기만 할 때는 안성마춤이어서 굉장한 광경을 생생하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핼리혜성이 보일 시각을 골라 비행기를 타야한다는 것이 항공사의 권유 선전문이다 ...
10월에 발사예정. 필자도 이 망원경 사용신청을 하라고 방대한 자료와 안내서를 우주망원경본부에서 받아 신청서류 작성중, 지난1월29일, '챌린저'사고가 일어났다. 이리하여 일단은 위에 열거한 계획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으나 연기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미국은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뒤이어 ...
시작된 이 신호 보내기 계획은 '푸에르토리코'의 '아르시보'에 있는 직경 약 3백m 전파망원경으로 2진법(二進法) 암호의 신호를 외계로 발사하고 있다. 0과 1로된 신호를 보냈는데 이 전문을 받은 외계인이 0을 백으로 1을 흑으로 바꾸어 종 73, 횡 23의 장방형으로 늘어놓으면 인간의 모습이나 '아르시보 ...
즉 우리 은하수와 같은 수천억개의 별의 집단들-의 운동을 당시 세계 최대인 1백인치 망원경으로 관측하던 미국 천문학자'허블'은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냈다.마치 팽창하는 기체를 이루고 있는 분자들 서로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고 있듯이, 우주를 이루고 있는 은하들 서로가 ...
사라지자 날씨가 맑아져 관측자들을 안타깝게 하였다. 마지막날 밤, 겨우 핼리를 천체망원경(16㎝)에 포착했으나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은 경우 20여분에 불과했다.이때의 핼리밝기가 5.4등급. 서쪽하늘 지평선 고도 20°정도의 높이였다. 이론적으로는 육안관찰이 가능하였으나 실제로는 보통 현미경( ...
제작비만 30만원 이상이 든다. 특히 핼리혜성이 꼬리가 발달하여 그 면적이 넓어지면 망원경보다는 쌍안경관찰이 유리하게 된다. 관찰 가능한 35㎜ 쌍안경의 가격은 약 3~4만원선. 쌍안경을 사용할 때는 관찰상태가 흔들리지 않도록 삼각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쉬운 방법으로는 등받이가 있는 ...
우주전파수신장치를 개발하고 인공위성 추적망원경을 제작하며, 2천년까지는 2.5m 대형망원경을 개발·설치하고 자체 기술로 통신위성을 개발하는 것이다.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고급인력의 확보를 위해 국립천문대는 국내외박사학위 소지자를 1990년까지 19명 유치할 계획을 세워놓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