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 차례의 유무인 달 탐사를 실시했다. 미국은 60년대 레인저를 시작으로 서베이어, 루나오비터 등의 무인 달 탐사와 아폴로계획에 의한 유인 달 탐사를 실시했다. ⑦맬의 달 무인탐사에서 인류정착까지인류의 미래를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 달은 지구에 가장 가깝고 특수한 환경을 지녀 ...
7년 9월 루나 A(일본)달 표면 촬영, 지진 측정 등의 임무를 띠고 발사될 예정.1997년 9월 24일 루나 프로스펙터(미국)최근 얼음이 있다고 해서 화제가 되고 있는 달의 극지방을 탐사하기 위해 발사될 예정.1997년 10월 6일 카시니(미국)토성 탐사선으로 타이탄을 비롯한 위성들과 토성고리를 탐사할 예정.199 ...
유인우주선인 머큐리를 계획했던 곳이다. 또 달에 사람을 보내기 위해 달지도를 작성한 루나 오비터를 만들고, 상층 대기관측용 로켓을 개발한 것으로 유명하다.케네디우주센터(KSC)1962년 설립, 디즈니 월드로 유명한 플로리다주 올란도에서 자동차로 30분 거리에 있는 메리트 섬 케이프 캐너베럴에 ...
옛소련과 미국의 세력다툼으로 비화하기도 했다.예를 들면 레인저(Ranger) 루나(Lunar) 루나오비터(Lunar Orbiter) 등의 탐사선에 의해 발견된 지명에는 '모스크바의 바다' '치올코브스키' 등과 같은 소련 지명과 인명이 붙여졌다. 미국은 미국대로 이러한 경쟁에 가세했다. '고요의 바다'에는 '페이 능선'(Faye ...
최고로 선택받은 자들의 최대의 모험이었다. 암스트롱이 달을 떠난 후 달을 돌고 있던 루나 15호는 달의 착륙에 실패하여 달에 충돌함으로써 러시아는 패배의 두손을, 미국은 승리의 두손을 들었다.얼마전 필자가 만났던 러시아의 우주 과학자 말대로 러시아는 미국과의 우주개발경쟁 때문에 ...
조사됐다. 아폴로17호가 타우루스산맥 리트로우지 역에서 채취한 샘플과 러시아의 루나24호가 위난의 바다에서 가져온 월석을 분석한 결과가 (표2)다. 여기서 주목을 끄는 것은 니켈과 코발트. 물론 함유량이 지구보다 많다고 다 가용성이 있는 자원은 아니다. 지구는 수억년 이상 지각변동과 ...
1950년대에 처음 개발된 러시아 로켓 1세대에 NATO가 붙였다. 이 로켓의 러시아 이름은 루나-M이고 그들의 설계는 R-70, 혹은 9K52다.프록-7은 프록 시리즈의 마지막 형으로 1965년 처음 등장, 현재는 SS-21 '스카랍'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대체되고 있다.프록-7은 길이 9.1m에 직경 0.54m이며 발사무게 2천 ...
특히 풍부한 달 자원을 탐사하기 위해 NASA는 새 달탐사기 루나 옵서버계획을 추진중이다. 루나 옵서버를 달의 남북양극을 통과하는 궤도에 올려 2년에 걸쳐 탐사한다는 계획인데, 현재 1998년 10월 발사가 검토되고 있다.일본에서도 달의 자원을 활용, 물이나 콘크리트, 티탄강이나 철을 생산하고 이를 ...
우주선 루나 16호가 다시 달착륙에 성공한다. 같은 해 11월 17일 옛소련은 달표면 이동차량 루나호트 1호를 달에 착륙시켰는데 달 표면의 '비(rain)의 바다'라고 명명된 지역에서 6개월동안 10.54㎞를 이동하며 최초로 달에 관한 복합적 연구를 수행한다.지금까지 옛소련의 50년대와 60년대의 우주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