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전 빛 자극이 망막을 통해 생체시계에 이른다는 것을 연구, 사람의 생체개일시계를 대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작은 두 지역으로까지 추적해갈 수 있었다. 이 부분은 시교차상핵이라고 불리는 곳으로 뇌의 기저부에 파묻혀 있으며 모래알갱이보다 작은 크기다.시교차상핵 주변에 종양이 생긴 ...
대뇌 신경절이 퇴화돼 일어나는 질병. 이 병에 걸리면 운동과 인지를 관장하는 대뇌 신경절의 뉴론이 광범위하게 파괴돼 얼굴이나 손 발 혀 등에 심한 경련이 일어나는 불수의(不隨意)적 운동장애와 치매 증상을 보인다. 무도병이란 이름이 붙은 것은 환자들의 걸음걸이나 동작이 마치 춤을 추는 ...
도달할 수 있는 최종착지가 될 것이다.바이오컴퓨터는 생물체의 특성을 갖춘 인간 대뇌의 기능과 같은, 그야말로 꿈과 같은 기능을 가진 컴퓨터다. 기존의 컴퓨터로서는 처리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미시적, 또는 정량화하기 힘든 정보를 취급한다. 즉 인간의 감각수준으로 직감하며 반응하는 그러한 ...
진행 중이다.그들은 시각에 관한 가장 고차원의 정보처리를 담당하고 있는 대뇌측두엽의 피질(IT)에 주목하고 있다. 실험은 원숭이에게 여러가지 형태와 색상의 콘트라스트로부터 이루어지는 단순한 그림을 보여주고, 원숭이 IT의 신경세포가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전기생리학적으로 조사했다.그 ...
여러 실험적인 결과로 신체에 물리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대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전 자율계를 자극하며 이에 따른 연쇄반응이 몸 전체에서 일어난다는 것은 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또한 이것은 우리가 평소 생활에서 경험하는 사실이기도 하다.1984년에 M. V. 조클은 자신의 ...
각성 비렘수면 및 렘수면시 나타나는 뇌파상의 차이는 이렇다. 비렘 수면동안에는 대뇌피질신경세포들이 동시에 폭발하고, 각성상태에서는 서로 다른 시간에 폭발한다. 렘수면시에는 각 단위의 활동은 매우 크지만 전체적으로 동시에 폭발이 일어나지는 않는다.대부분의 꿈은 렘수면동안 꾸게 ...
한다.뇌파가 어떻게 하여 발생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이렇다할 정설이 없다. 다만 대뇌피질의 신경세포들이 일시에 같은 움직임을 하는데 원인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의학계에서는 정상뇌파와 이상뇌파를 구분하여 이것을 질병의 진단이나 치료에 이용한다. 그러려면 뇌파를 장시간 기록하고 ...
높은 사람들은 최면감수성이 낮은 사람들에 비해 알파파의 변화가 많으며 특히 왼쪽 대뇌반구에서 더 많은 알파파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선 명상 최면을 하면 뇌파의 변화가 유발된다는 사실은 명상상태 혹은 최면상태가 단순한 심리적인 변화만 초래한 상태가 아니라 뇌에 전기적인 ...
대뇌 전체에서 이상뇌파가 나타나고 의식의 소실을 동반한다. 그에 비해 부분성 간질은 대뇌의 일부에서 이상뇌파를 보이고 의식의 소실은 없다.전반성 간질의 예로는 대발작과 소발작이 있다. 대발작은 의식소실과 더불어 쓰러지며 전신이 뻣뻣해지고 얼굴은 새파랗게 변한다. 또 혀를 깨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