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로 약 40년 동안 고DNA 연구는 엄청난 발전을 거듭했다. 지금까지 고DNA 연구자들은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같은 고인류를 거쳐 약 100만 년 전의 매머드 화석에서 DNA를 검출하는 데 성공했으며, 고DNA연구 분야를 열어젖힌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장은 2022년 노벨 ...
여러분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 뭔가요? 노릇노릇 구운 스테이크부터, 겉바속촉 튀김까지. 인류는 지구상에 등장한 이후, 더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습니다. 새로운 맛과 향, 더욱 입맛을 자극하는 식감을 찾기 위한 인류의 도전은 과학적으로 진행돼 왔지요. 군침 흘리게 않 ...
견과류나 풀, 야생 겨자 등 다양한 식재료가 결합된 요리의 흔적을 찾았죠.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이 7만 년 전 만든 요리는 재료를 잘게 찧고 물을 넣어 반죽처럼 만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쳤다”며 “납작한 팬케이크 모양으로 고소한 견과류 맛이 났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이어 “쓴맛이 ...
과학상 분야인 생리의학, 물리학, 화학상 수상자를 살펴보겠습니다. 인류의 먼 친척인 네안데르탈인의 화석 연구부터 알쏭달쏭 양자역학, 그리고 원하는 화학 물질을 만드는 클릭화학까지. 어린이도 이해하는 노벨상, 시작합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어린이도 완전 정복! 2022 ...
네안데르탈인 화석 분석 결과, 가족 공동체를 이루어 살았다니 궁금해졌어. 게다가 화석 중 일부는 아빠와 딸 관계로 밝혀졌다는 소식에 괜히 애틋 ... 이렇게 살았을 거라고 단정해서는 안돼. 앞으로 다른 공동체의 네안데르탈인 화석들도 분석해, 네안데르탈인의 사회를 더 자세히 밝혀 줘 ...
유전자 정보를 대조하는 생물정보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페보 소장은 현재 인류에게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1~4% 정도 있다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지요. 생물의 진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연구하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김유섭 교수는 “스반테 페보 소장은 해독이 어려운 고대 인류의 ...
이용해 다양한 신경정신질환 관련 형질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질환과 관련된 형질이 네안데르탈인의 변이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사람들이 가진 수많은 표현형의 다양성을 폭넓게 조사하는 이른바 ‘심층표현형연구(Deep Phenotyping)’가 계속되면 고인류 유전자 유산이 우리 삶에 ...
나는 1997년 논문이 내가 쓴 최고의 논문이라고 생각한다”고 서술했다. 그는 1997년 네안데르탈인의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해당 논문은 초기에 인류학 관련 연구에서만 주로 인용되다가, 점차 유전학에서 인용되는 비율이 크게 늘었다.최근에는 홍적세 중기 ...
이를 바탕으로 지역에 따른 인류의 족보도 분석했다. 유럽의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는 네안데르탈인으로 변화했고(약 40~30만 년 전), 아프리카 남부의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는 호모 사피엔스로 변화했음이 입증됐다(30~20만 년 전).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가 후기 플라이스토세(12만 6000년~ 5000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