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이 풍부한 음식임을 나타내는 신호다. 음식에 맛을 더하는 합성조미료란 다름 아닌 글루탐산염(MSG)이다.단맛과 감칠맛을 감지하는 수용체의 유전자가 밝혀진 것은 지난 2003년. 여기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불과 세 개로 각각 T1R1, T1R2, T1R3로 불리는 수용체 단백질을 만든다. 이 가운데 T1R2와 T1R3가 ...
즉시 효과가 없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약물 탐닉에 글루탐산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글루탐산을 분비하는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도 연구 중이다.또한 흰쥐에게 장기간 모르핀을 투여하면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의 크기가 현저히 줄어든다. 이는 모르핀이 도파민 신경세포를 ...
들리는 감칠맛(deliciousness)은 조미료에서 느껴지는 맛이다. 조미료로 많이 쓰이는 글루탐산 모노나트륨(MSG, MonoSodium Glutamate)을 감지하는 수용체가 발견되면서 제5의 맛으로 등장한 것이다.최근 미국 퍼듀대의 리차드 마테스 교수는 인간이 지방(triglyceride)의 맛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바이러스가 강력한 기능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또한 NS1단백질의 92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탐산이 독감 감염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다.서 교수의 이번 연구 결과는 독감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독감 증상의 주요 원인이 밝혀졌으니 이를 ...
반응하는 미생물 등이 미생물센서로 사용된다. 특히 대장균도 아미노산의 일종인 글루탐산과 반응하기 때문에 미생물센서에 유용하게 쓰인다. 또한 미생물의 돌연변이 정도를 이용해 발암물질을 측정하는 미생물센서도 제작이 시도되고 있다. 병원 안가고 진료받는다최근 집적회로(IC)기술을 ...
독일의 막스플랑크 연구소 연구진과 스위스 바젤사의 연구진이 빛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눈의 광수용체세포 말단에서 검출했다. ... 글루탄산염의 배출을 늘린다. 우리 눈이 폭넓은 빛에 무리 없이 반응할 수 있는 것은 글루탐산염 수용체의 이와 같은 조절작용 때문이다 ...
표정으로 선호도를 짐작하는 실험이다.인종에 관계없이 모든 아기들은 설탕물이나 글루탐산나트륨액(조미료에 쓰이는 아미노산인데 MSG로 알려져있다)을 주면 미소를 띠며 행복한 표정을 짓는다. 하지만 쓴맛 또는 아주 짜거나 신맛을 내는 물질을 주면 찡그리며 싫어하는 모습을 보인다.우리 ...
주성분처음에는 밀이나 콩에 들어 있는 글루텐(단백질의 일종)을 염산으로 가수분해하여 글루탐산을 만들어 결정 분리와 탈색 조작을 되풀이하고 중화하여 모노나트륨염을 얻었다그 후 당밀에서의 제조법, 글루코오스에서의 발효법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원료로 한 합성법 등에 의해 만들게 되었다 ...
시냅스 전 뉴런에서 시냅스회로 내로 신경전달물질(특히 글루탐산물질)이 많이 이동해 글루탐산신경계가 횔성화된다. 이어서 시냅스 후 뉴런의 세포막을 통한 ${Ca}^{2+}$이온의 이동이 증가된다.이러한 일련의 세포내 화학반응에 의해 시냅스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과 유전자가 변하기 때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