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海馬, hippocampus) 뇌 속에 수생생물 해마와 꼭 닮은 영역이 있어요. 모습이 비슷한 탓에 이름도 해마라고 지어졌답니다. 폭 1cm, 길이 5cm의 해마는 뇌 안쪽 깊숙한 곳에 있어요. 해마는 비록 작은 크기지만,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요. 지식을 학습하고,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정보를 기억하 ...
다음 순서는 블랙홀을 실제로 관측한 수상자들! 빛도 빨아들이는 블랙홀을 직접 볼 수는 없었을 텐데, 블랙홀을 어떻게 관측했을까요? 블랙홀은 못 보지만, 블랙홀 주위 별은 본다! 안드레아 게즈 교수와 라인하르트 겐첼 소장은 각각 독립적으로 연구팀을 이끌어 우리은하 중심의 거대질량 블랙 ...
노벨상 발표를 약 3주 앞둔 9월 17일,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발간하는 유머과학잡지 에서 괴짜 노벨상이라 불리는 ‘이그노벨상’ 올해 수상자가 발표됐어요. 이그노벨상은 특이한 연구를 한 사람들에게 주는 일종의 엉뚱 노벨상이에요. 올해 이그노벨상은 음향학 ...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이 실제로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래. 과학자들은 그 흔적을 어떻게 확인한 걸까? 금성 대기에서 포스핀 발견영국 카디프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 천문학연구소,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공대 등 공동 연구팀은 금성 대기에 포스핀(PH3) 기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9월 ...
이탈리아에서 이빨과 피부가 없는 상어가 발견됐어요. 주인공은 검은입두툽상어예요. 원래 연한 갈색 몸에 얼룩이 있는 모습인데, 이번에 발견된 상어는 눈과 배, 아가미를 제외한 몸 전체가 연한 노란색을 띠어요. 자세히 보면 내장과 뼈가 보일 정도죠. 이 상어는 지난 7월 지중해 중서부에 있는 ...
섭섭박사님의 미술 교실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번 시간엔 과학 원리를 담아 그림을 그릴 거예요. 알록달록 멋진 작품 속엔 어떤 과학이 있을까요? ① 수조에 물을 담는다.② 컵에 물감을 담고 빨대를 이용해 물 위에 물감을 뿌린다.③ 나무젓가락이나 긴 막대로 물감을 움직여 원하는 모양을 ...
오늘도 과학마녀 일리가 왔어~. 요즘 날씨가 좋아서 밖에서 실험을 해보려고 나갔는데…, 너무 멀리 가서 사막까지 와버렸지 뭐야! 결국에는 전기가 필요해서 태양전지를 사용했어! 응? 태양전지가 뭐냐고? 태양전지(太陽電池, solar cell) 화력 발전소는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온실 기체인 이 ...
저녁이 되었으니, 밤 산책을 즐겨볼까하소. 한밤 중의 숲은 조용하고, 평화로워서 걷기에 좋소. 물론 수확할 전기도 풍성하고 말이소. 햇빛도, 사람도 없는 곳에서 어떻게 전기를 수확하는지 궁금하소? 하늘과 바람과 별과 전기지난 2019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 애스워스 라만 교수 ...
“띠리리리링~! 전화 왔다~, 전화 왔다!”요란한 전화벨이 울리자 졸고 있던 개코 조수는 화들짝 놀라 전화를 받았어요.“안녕하세요. 저는 견우라고 합니다. 혹시 ‘염소자리로 다비흐1번길’로 와주실 수 있나요? 도와주셨으면 하는 일이 있어요.”앗싸, 출장이다!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오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