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가 교육하고 있는 학생들은 2000년대의 주역이 될 것이다. 1984년에 국민학교를 입학한 학생이 만일 대학까지 학업을 계속한다면, 대학졸업식에서 21세기를 여는 원년 축하를 받게 될 것이다.이 시점에서, 21세기의 사회는 어떤 특징을 갖게 될 것이며, 그 사회에서는 어떤 지식과 기능을 갖춘 ...
올해로 8회를 맞은 전국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대회(동아일보 소년동아·과학기술처 주최, 한국야쿠르트 협찬)가 질과 양에서 눈에 띄게 향상돼 과학 한국의 앞날을 밝게 해주고 있다.지난해 7회 때부터 대회의 대상(大賞)을 국무총리상에서 대통령상으로 격상시킨것과 올해부터 은상 이상의 입상자 ...
지구상에 인간이 나타난 이후, 인간은 자연과 끊임없이 관계를 맺어오면서 호기심과 경외감을 바탕으로 차츰 과학을 진보시켜 왔다. 고대에서 중세에 걸친 수천 년 동안 과학은 몇몇 선구자적인 과학 두뇌들에 의해 부분적이고 단속적인 발전을 해왔으나, 산업혁명을 분수령으로 하여 과학은 양적 ...
다음은 사회의 변천에 따른 직업성쇠의 전망. 미국의 현실을 바탕으로 저널리스트 '월코미르'가 인터뷰를 통해 작성한 리포트. 우리의 현실과는 거리감이 있지만 미래를 조망하는데 참고가 될것이다. '나라마다 언어가 다르듯이, 시대에 따라 직업도 다양하다. 쇠퇴일로에 있는 직업이 있는가 하 ...
밤하늘을 본다. 그 하늘과 자신을 연관시켜 본다. 즉 자신을 우주의 한 산물에 포함시켜 자신과 우주를 생각하며 동화시킨다. 이 과정은 우리의 선인들이 했던 일들이다. 그러나 지금에 살고있는 현대인들은 그러한 여유를 지니고 있는 것일까? 저마다의 이유, 대의 명분에 휩쓸려 자신도 모르게 자 ...
"다음 문제. 다음 중 지동설을 주장한 사람은?""코페르니쿠스." 졸리운 목소리로 아무렇게나 내뱉는 학생들. "코페르니쿠스는 일상적 경험과 사실에 더 부합되는 천동설을 부정하고 지동설을 주장했다. 같은 자연 현상을 보는 이와 같은 관점의 변화는 어떤 의의를 갖고 있을까? 당시 지동설을 주장 ...
"나는 남들보다 정신적 성장이 늦어 남들이 모두 의심없이 받아들이는 것들조차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해 결국 새로운 것을 찾아내게 되었다" 1955년 4월 18일 새벽 1시가 조금 지났을 때 미국 '뉴저지' 주 '프린스턴'병원에서 아인슈타인은 숨을 거두었다. 묘와 기념비 만들지 말라 묘비와 기념비를 ...
결정되어 왔기 때문인것같다.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과학교육의 많은 부분을 맡고있는 과학교사로서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던 과학교육이 새롭게 변모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각 학교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은 여러 분야에서 지적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고, 과학교육이 ...
인류가 당면한 식량 문제, 자원 문제, 인구 문제 등 필연적으로 해결해야 할 갖가지 위기들에 대하여 우리는 장차의 과학의 발달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과학의 발달은 우리에게 아무런 위기적 문제가 없는 행복한 미래를 꿈꾸게 한다. 인류는 지금까지 행복한 미래의 꿈을 다만 꿈으로 놓아 두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