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달린 약이나 광선'은 개발해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유전 공학적인 방식으로 암치료를 해내야 하리라고 봅니다. 이것은 암세포를 떼내 정상세포에 동화시킨 다음, 다시 암세포에 넣어 이를 정상세포로 만드는 원리인데요. 현재 20여년 계획으로 연구하고 있읍니다. ―아직은 ...
왔다. 참여한 연구원의 전문분야는 약학 이학 공학 생화학 의학 무기화학 생물학 화공학 기상학 기생충학미생물학 등 자연과학 분야와 법학 행정학 사회학 등 광범위하게 망라되었다. 여기에 전문연구원을 보조하는 대학원과정 연구원들도 동원되었다. 설립 이래 권숙표 교수(연세대의대·약학)가 ...
교사는 컴퓨터가 보조해 주는 것을 감안하면 그 수가 현실적으로는 줄어들지도 모른다. 공학을 제외하고 대학 수준의 교수직은 감소하리라는 예상이다. 그러나 학습사회는 새로운 교직을 창출하여 저술가가 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 비디오 텍스트를 사용해서 수입을 한다거나, 텔레비전 화면을 ...
수입하는 쪽입니다."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 워싱톤대에서 통신공학을 전공, 석사학위를 딴 정실장은 그동안 체신부, 미국 COMSAT연구소 등을 거쳐 79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소에서 일하고 있다. 경력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자통신방면의 최일선에서 뛰어온 셈이다. 결국 전파를 ...
현재 종업원 3천여명 가운데 5백여명이 연구에 전념하는 과학자지요. 최근에는 특히 생명공학에 연구의 촛점을 맞추어 감염백신 인터페론 성장호르몬 뇌신경제등을 생산하고 있읍니다. 박테리아를 이용한 공기중의 질소고정연구 면역 계통의 약품연구등 주로 생물제제의 연구 개발 생산이 주축이 ...
추진하고 있어 미생물농약 실용화에 밝은 전망을 보여준다. 차세대산업으로 불리는 유전공학산업에 뛰어든 국내기업들의 21세기를 향한 행군은 이제 시작됐다. 그러나 이들의 앞길이 결코 평탄한 것만은 아니다. 우선 기술수준이나 연구인력면에서 또 연구개발비 투자면에서 국내기업의 수준은 ...
기억을 보존 대뇌에 접근하여 대뇌의 기억메카니즘을 다룬 사람이 오사카대학 기초공학부의 '스카하라'이다. 그도 또한 기억의 흔적을 뇌세포의 분자속에서 집요하게 탐구했다.그런데 인간의 구조는 왜 복잡한가? 플라나리아 등 생명이 짧은 생물은 기억을 보존하는 기간이 짧다. 그런데 인간의 ...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신소재 개발에 대한 열기를 원동력으로 하여 재료공학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기술 과학기술 전반이 선진국을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갈 것으로 ...
개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중앙연구소는 합성연구실 제제연구실 발효연구실 유전공학연구실 약리연구실 분석정보실 등 6개 연구실을 설치,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갖추고 있다. 국내굴지의 동물실험실 갖춰 이중 특색있는 곳은 약리연구실. 약효를 검사하기 위해 각종 기기 외에도 동물들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