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크게 보려면 PDF를 클릭하세요
풍부하다.카르발료 교수는 “오로린 투게넨시스가 호미닌에 속한다는 사실을 의심하는 고인류학자는 많지 않다”며 “많은 화석이 발견된 것도 오로린 투게넨시스가 최초의 호미닌이라는 학설을 지지하는 가장 강력한 이유”라고 말했다 ...
카테리나 도우카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데니소바인은 현대 고인류학에서 가장 흥미로운 연구 주제이자 미지의 인류”라며 “파인더 프로젝트를 통해서 이들이 감춘 비밀에 한 발짝 더 다가가겠다”고 말했다 ...
유적 발굴에 참여했다.지난해 말 국립중앙박물관장 퇴임 뒤, 배 전 관장은 아시아의 고인류학과 구석기학을 망라하는 집필 작업을 하고 있다. 그는 “시대가 길고 넓어서 자료를 읽어도 읽어도 끝이 없다”라며 “큰 흐름이라도 묶어 놓으면 젊은 후속 세대가 하나 하나 깊이 연구할 수 있지 ...
관여하는 WARS2/TBX15 유전자 영역은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살다가 약 4만 년 전 사라진 친척 고인류 데니소바인으로부터 기원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 영역이 허리와 엉덩이에 분포된 체지방 비율과도 연관이 있으며, 이는 데니소바인이 추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 생긴 진화의 ...
4만 5500년 전 그려진 것으로 확인된 인류 최고(最古)의 동굴 벽화로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리앙 테동게 동굴에서 발굴됐다. 지역에 사는 멧돼지를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위는 유럽에서 사냥 장면을 묘사한 가장 오래된 동굴벽화인 프랑스 라스코 동굴벽화 속 반인반수의 모습이다. 최대 2만 1000년 ...
연구를 발표한 곳은 중국지질과학대학교의 리다 싱 교수와 중국과학원 척추고생물학 및 고인류학연구소 징마이 오코너 교수팀이에요. 그들은 미얀마에서 채굴된 약 9900만 년 전 백악기 초기의 호박에 든 두개골을 찾았어요. 겨우 1.4cm 정도로 벌새보다 더 작았죠. 연구팀은 부리를 닮은 뾰족한 ...
인류의 기원에 대한 지금까지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인간이 속한 호모(homo) 속(屬)의 고인류는 200만~25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출현했고, 현대인의 모습을 한 현생인류 종인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약 30만~20만 년 전 등장했다. 그런데 이런 인류의 기원과 발생을 설명할 때 화석만큼 중요한 ...
분석 기술이 발전하면서 고대 인류의 모습과 생활양식 등을 알아내는 고인류학 연구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심지어 최근에는 뼈 화석이 아닌, 고대 인류가 씹던 자작나무 송진(껌) 화석에서 추출한 DNA로 성별과 신체상의 특징을 복원하고 미생물 군총까지 파악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네스 슈뢰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