받는다. 그동안의 경험을 되돌아보면 편광으로 자신이 나아갈 길을 찾는 사막개미처럼 나 또한 과학동아를 통해 나의 길을 찾았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그 길을 개척하는 것은 자신의 몫이다. 학창시절부터 가졌던 호기심과 탐구심은 내게 열정을 불어넣었고 과학동아라는 연료를 만나면서 ...
매년 1월부터 2월까지 대원을 모집해요. 4월 발대식을 시작으로 11월까지 제비, 매미, 개미, 민물고기 등의 현장교육이 이어지며, 탐사 활동을 통해 여러 생물 종의 생태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어요. 올해 참여 기회를 놓친 친구들은 내년 1월부터 8기를 모집하니 도전해보세요! ...
있는 시간이 길어져. 독일 울름대학교 연구팀이 우리 움직임을 관찰한 결과 사하라 은색 개미의 걸음걸이 사이에 발이 땅에 닿는 시간은 7ms(밀리초) 정도밖에 되지 않았지. 와! 사막에서 그렇게 빨리 달리다니! 덥진 않니? 2015년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난팡 유 교수팀은 우리 몸에 흡수된 열을 ...
을 읽고 개미가 사회성 곤충이란 사실을 알고 더욱 매료됐지요. 만화에 개미 캐릭터가 많이 등장하는 것도 제 사심이 담겨서랍니다. 첫 연재작인 ‘다운이의 생생 탐사’를 그릴 땐 깃털 하나하나 생생하게 살려서 생물을 실제처럼 그리려고 했어요. 시간이 흘렀으니 고백하지만, ...
곤충들이 텐트를 빼곡히 채웠지요. 이날 텐트엔 알락굴벌레나방, 흰무늬왕불나방, 고동털개미 등 다양한 곤충들이 찾아왔답니다.흔적➌ | 눈 번쩍! 귀 쫑긋! 새의 흔적을 발견하다새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새벽 6시, 대원들은 졸린 눈을 비비며 조류 탐사를 위해 한 자리에 모였어요. 새가 떠날까 ...
해충은 피해를 미치는 범위에 따라 크게 세 종류로 구분해요. 나무에 피해를 주는 산림 해충, 농작물을 먹어치우는 작물 해충, 피를 빨아먹거나 병을 옮기는 위생 해충이지요. 바퀴벌레나 모기처럼 우리가 집에서 자주 만나는 해충은 대부분 위생 해충이에요. 이런 위생 해충은 인간에게 치명적인 ...
맞이한 지구사랑탐사대는 2521명 규모로 크게 성장했지요. 또한 매미, 조류, 귀화식물, 개미, 거미, 민물고기 등으로 탐사 생물 종도 다양해졌답니다.지난해 지구사랑탐사대는 총 54회의 현장교육을 실시했어요. 현장교육을 받은 대원들은 동네로 돌아가 자신의 지역을 중심으로 탐사하고 스마트폰 ...
특이해요. 개미선충의 종숙주는 새랍니다. 새가 개미를 열매로 착각해 잡아먹으면, 개미선충이 새의 몸속으로 들어가는 거죠. 또한 무당벌레의 배에 알을 낳는 ‘기생 말벌’도 있어요.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무당벌레의 뇌를 마비시키고 양분을 빼앗아 먹으며 기생해요. 이후 무당벌레의 배에 ...
풀었을 때, 가장 페로몬 농도가 높은 길을 제게 추천해주는 겁니다. 오늘은 저와 비슷한 개미들이 ‘1시간 30분 동안 자전거 타기’를 추천하네요! 전 어서 운동하겠습니다. 휙~. 유전 알고리듬이 추천하는 오늘의 요리 생물의 진화를 모방한 유전 알고리듬으로 맛있는 한 끼를 해결해볼까요? 유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