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엘리베이터 안에서 휴대전화 '먹통' 되는 이유

페러데이의 새장안에 갇힌 전기장

전기력선으로 어떤 공간 안에 양전하 또는 음전하가 들어있는지 알 수 있다. 표면 S1에서는 모든 전기력선이 나가는 방향이고, 표면 S2에서는 들어오는 방향이다. 표면 S3과 S4는 알짜전하가 0이기 때문에 나가고 들어오는 전기력선의 수가 같다.전기력선으로 어떤 공간 안에 양전하 또는 음전하가 들어있는지 알 수 있다. 표면 S1에서는 모든 전기력선이 나가는 방향이고, 표면 S2에서는 들어오는 방향이다. 표면 S3과 S4는 알짜전하가 0이기 때문에 나가고 들어오는 전기력선의 수가 같다.

바야흐로 휴대전화 전성시대다. 지하철 안, 산, 바다 등 언제 어디서나 휴대전화를 쓸 수 있다. 심지어 해외로밍서비스로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 바로 통화할 수도 있다. 하지만 휴대전화의 전파가 미치지 않는 곳이 우리 생활 아주 가까운 곳에 있다. 바로 엘리베이터 안이다.엘리베이터를 탔을 때 휴대전화가 갑자기 끊어져 당황한 경우가 누구나 한번쯤 있다. 왜...(계속)

글 : 최준곤 고려대 물리학과 chay@korea.ac.kr
이미지 출처 : 동아일보

과학동아 2007년 01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7년 01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