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하루에 모기 유충 6백마리 넘게 포식

말라리아로 사경을 헤매고 있는 딸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아프카니스탄인의 모습. 말라리아를 퇴치하는데 미꾸라지가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말라리아로 사경을 헤매고 있는 딸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아프카니스탄인의 모습. 말라리아를 퇴치하는데 미꾸라지가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미꾸라지 용됐다.” “미꾸라지처럼 빠져나간다.” “미꾸라지 한마리가 물을 흐려놓는다.”우리나라 논과 개울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었던 정겨운 우리 물고기 미꾸라지. 그런데 왜 우리 조상들은 이처럼 미꾸라지를 천대하고 눈살을 찌푸리며 바라봤을까. 추어탕집 수족관에서 솥에 팔팔 끓여질 날만 기...(계속)

글 : 이동규 고신대 생명과학부 leedk@kosin.ac.kr

과학동아 2004년 01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4년 01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