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구는 특별한 염색을 하지 않으면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없다.
지금은 혈액의 각 성분을 따로 추출, 필요한 성분만 수혈하는 성분수혈시대. 아울러 교차수혈 자가수혈이 행해지고 인조혈액 대용혈액 등도 속속 개발되고 있다태고 이래로 혈액은 생명의 정수로 인식돼 있다. 치료제로 인간의 혈액이 사용된 것은 고대 이집트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때 병자 고령자 무능력자들에게 혈액으로 목욕을 시킨 기록이 남아 있다.중세시대에는 ...(계속)
글 : 박태균
과학동아 1991년 05호
과학동아 1991년 0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