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극지(極地)의 장관 오로라 AURORA

노르웨이의 카우트케이노지방 하늘에 나타난 오로라. 오로라는 태양활동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으며 자기폭풍이 일어날 때는 반드시 볼 수 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하전미립자가 지구의 대기에 돌입했을때 대기중의 원자나 분자와 충돌하여 그결과 원자와 분자가 자극을 받아 빛을 내는 고에너지상태가 되어 나타난다.노르웨이의 카우트케이노지방 하늘에 나타난 오로라. 오로라는 태양활동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으며 자기폭풍이 일어날 때는 반드시 볼 수 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하전미립자가 지구의 대기에 돌입했을때 대기중의 원자나 분자와 충돌하여 그결과 원자와 분자가 자극을 받아 빛을 내는 고에너지상태가 되어 나타난다.

영하 섭씨60도의 극한지대, 고도 1백㎞~5백㎞의 고공에서 펼쳐지는 빛의 향연 오로라. 지구의 자기위도(磁気緯度) 65~70도 부근에서 가장 잘 볼수있는 초고층 대기의 발광 현상을 극광이라고 한다. 오로라는 원래 로마신화속의 새벽의여신의 이름인데 프랑스의 물리학자 '가상디'(Gassendi)가 1621년 그의 저서 '물리학&#...(계속)

글 : 동아일보사 편집부

과학동아 1988년 01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1988년 01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