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 40년치 과학동아 기사 학습한 생성AI, 과학동아 AiR 출시

9월 5일 오전 10시, 서울 홍익대 인문사회관C동에서 특별한 수업이 열렸습니다. 수학교육과의 전공인 ‘수학교과교육론’ 강의를 시작하는 오세준 교수는 오늘날 인공지능(AI)이 얼마나 발전해 우리 곁에 함께 있는지 이야기하는 것으로 운을 띄웠죠.

 

예비 수학 교사들에게, 수학교육의 이론과 방법을 가르치는 수업에서 AI라니요. 크게 놀랄 일은 아닙니다. AI와 교육은 점점 밀접해지고 있습니다. 내년 2025년을 시작으로 2028년까지 학생 데이터 기반의 맞춤 학습 콘텐츠를 제시하는 AI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될 예정입니다. 이런 이유로 대학에서는 예비 수학 교사들에게,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AI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있습니다.

 

▲김태희
오세준 홍익대 수학교육과 교수가 수학교과교육론 강의에서 과학동아AiR를 활용해 수학 수업을 계획하는 방법을 지도하고 있다.

 

과학동아AiR, 수업 준비를 도와줘!

 

이날 수업에선 학생들이 모둠별로 기후, 인구, 환경을 주제로 한 수학 수업을 계획하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수업 준비에 ‘과학동아AiR(에어)’를 활용했죠.

 

과학동아AiR는 9월 2일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동아사이언스 생성AI 챗봇입니다. 과학동아 40년치 기사는 물론이고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어린이수학동아가 쌓아온 기사들을 모조리 학습했습니다. 챗GPT같은 기존 생성AI와 과학동아AiR의 가장 큰 차별점도 여기 있습니다. 기사를 학습했기에, 답변이 기사를 통해 이뤄집니다.  

 

생성AI는 지금도 ‘할루시네이션(환각)’의 가능성과 싸우고 있습니다. AI 할루시네이션은 제대로 된 데이터를 학습하지 못했거나, 잘못된 데이터를 학습함에 따라 AI 모델이 내놓는 틀린 결과입니다. 과학동아AiR를 기획한 이현희 동아사이언스 DX팀장은 “기사 학습으로 이런 할루시네이션을 최소화한 것이 과학동아AiR의 최대 장점”이라고 설명합니다.

 

▲과학동아AiR 캡처
 

 

과학동아AiR, 과학수학 공부를 도와줘!

 

“요즘 학생들은 궁금한 것이 있으면 검색 대신 생성AI를 활용합니다.” 2024년 홍익대에 임용되기 전, 14년간 이대부고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던 오 교수는 대학은 물론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생성AI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 오 교수는 과학동아AiR의 출처 제공 기능을 눈여겨봅니다. 과학동아AiR는 잘 정리된 답변과 함께 출처가 된 기사의 링크를 함께 제공하죠. 기사는 사전이나 보고서와 다르게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집니다. 전문 과학수학 지식이 역사 그리고 사회와 함께 엮여 있는 글이죠. “과학동아AiR는 학생들이 관심 있는 주제에서 시작해 자신만의 공부를 이어 나갈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오 교수는 과학동아AiR의 구체적인 활용법을 11월호와 12월호에 걸쳐 자세히 설명할 계획입니다. 자, 과학동아AiR와 함께 할 준비 되셨나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10월 과학동아 정보

  • 김태희
  • 디자인

    박주현

🎓️ 진로 추천

  • 농업학
  • 물리학
  • 천문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