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

 

※편집자 주

디라이브러리에는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제인터뷰 한국어 번역본을 함께 게재합니다.

 

 친환경 에너지 기술을 개발해 깨끗하고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2월 5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UST에서 만난 이먼 라히미페트루디 UST 학생연구원에게서는 고독한 장인의 느낌이 물씬 났다. 스스로 만족할 때까지 하나의 대상을 오랜 시간 꾸준히 파고드는 집요한 장인이었다.

 

We met Iman Rahimipetroudi, a student researcher at th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ST), on February 5. He gave us the impression that he is a lone craftsman. He is persistent, relentlessly digging into a subject for a long period of time until he is satisfied.

 

 

이먼 라히미페트루디 연구원은 이란 출신으로 2017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에서 인턴십 기회를 얻어 한국에 왔다. KIER는 UST의  캠퍼스와 스쿨이 있는 32개의 국가연구소 중 하나다. 이후 2018년 9월부터는 KIER 캠퍼스에서 신에너지 및 시스템공학전공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라히미페트루디 연구원은 오늘날 세계적으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늘어나는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고 기후 변화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 연소 기술이다. 그는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서 화석연료 소비를 줄이거나 청정에너지로 전환해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며 “이를 위해 효율이 좋은 연소 시스템과 대체 연소 기술을 개발하려 노력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Researcher Rahimipetroudi is from Iran but came to Korea in 2017 for an internship opportunity at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KIER). KIER is one of 32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with UST campuses and schools. After completing the internship program, Rahimipetroudi enrolled in a PhD program in new energy and system engineering at the KIER campus in September 2018. Always busy with his project work until late on weekdays, Rahimipetroudi was available for this interview only in the evening after long hours in the lab. Although he must have been tired from his all-day research activities, he showed no signs of exhaustion, but rather looked excited when talking about his research. "It is natural to study for a long time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Rahimipetroudi said. "There is nothing easy or free in the world. Everything costs something."

 Rahimipetroudi is working in a field currently the focus of the heaviest interest: eco-friendly combustion technology to respond to growing demands for energy and solutions to the climate change crisis. "We must reduce fossil fuel consumption or convert it into clean energy to reduce air pollutant emissions and prevent climate change,” he said. "We are trying to develop efficient combustion systems and alternative combustion technologies for them.”


그가 진행하고 있는 연구는 크게 3가지다. 화석연료를 청정하게 연소하는 방법과 연료전지 차량의 필수 인프라인 수소충전소의 수소 생산 기술, 그리고 차세대 연료전지로 불리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열병합발전(SOFC-CHP) 시스템이다. 그는 “모두 전통적인 화석연료 연소를 수소와 연료전지 등을 이용한 차세대 기술로 전환시키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He is currently working on three research topics: a method for clean burning of fossil fuels,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for a hydrogen charging station (the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fuel cell vehicles), and a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SOFC-CHP), touted as a next-generation fuel cell. "These are all technologies that turn conventional fossil fuel combustion technology into next-generation technology using hydrogen and fuel cells.”

 

뛰어난 교수진과 연구 시설에서 성장

Growing with outstanding faculty and research facilities


고국인 이란에 있는 대학에서 에너지 변환 분야 연구로 석사 학위를 마친 그는 더 경쟁력 있고 자유로운 협업이 가능한 곳을 찾아 한국을 찾았다. 특히 혁신과 미래를 위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연구기관이 필요했는데, UST-KIER 박사과정이 그런 목표를 실현하기에 딱 맞았다. 

 

After completing his master's degree in energy conversion at a university in his home country, Iran, Rahimipetroudi came to Korea in search of more competitive and freer collaboration. He needed a research institute to develop the expertise to realize innovation as a value for the future, and found the PhD program at UST-KIER ideal in this regard.


라히미페트루디 연구원은 “한국은 세계 최고의 연구개발(R&D) 국가 중 한 곳”이라며 “특히 UST는 실력 있는 교수진을 토대로 양질의 교육을 추구해 내 꿈을 실현시킬 최적의 기관이라고 확신했다”고 말했다. 그는 “UST-KIER의 박사과정프로그램은 이론 연구뿐만 아니라 실제 제품 개발도 해 볼 수 있다는 점이 특히 매력적이었다”라며 “전문성을 지닌 관련 업계 사람들을 만나 통찰력을 얻는 것 또한 장점”이라고 밝혔다.

 

"Korea is one of the world's best countrie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he says. “I was particularly confident that UST is the best institution to realize my dreams since it pursues quality education through excellent faculty. […] The PhD program at UST-KIER was particularly attractive because it allowed me to engage not only in theoretical research but also in actual product development. Another advantage is that I have opportunities to gain insights from industry experts who I’m able to meet.”


지도교수인 동상근 UST 교수에 대한 언급도 잊지 않았다. 그는 “동 교수 밑에서 박사과정을 밟게 된 것은 행운”이라며 “항상 새로운 개념을 탐구하고 습득할 수 있게 격려하고 아이디어를 지지해 줘서 연구에 자신감이 생긴다”고 밝혔다. 

 

Regarding his advisor, Professor Dong Sang-Keun, at UST, Rahimipetroudi says, "I have been fortunate to do my PhD course under Professor Dong. He has always encouraged me to explore and learn new concepts and supported new ideas to build confidence in my research.”   


라히미페트루디 연구원은 UST의 장학금 제도와 뛰어난 연구 시설을 UST의 가장 큰 강점으로 꼽았다. 여러 국적의 친구를 사귀고, 가족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실제로 UST 학생의 30%는 외국인으로 선발하며, 현재 베트남, 인도, 파키스탄 등 40여개국의 학생들이 연구하고 있다.

 

Rahimipetroudi cited UST's scholarship program and outstanding research facilities as the school’s greatest strengths. He added that the school is ideal for meeting people from other countries and for the family-like atmosphere. Thirty percent of UST research students are foreign nationals from more than 40 countries, including Vietnam, India, and Pakistan.


좋은 분위기 덕분인지 그는 최근 큰 연구 성과를 거뒀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배기가스인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성능 면에서 목표 기준치를 초과 달성해 상용화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로 저명한 국제학술지 ‘클리너 프로덕션 저널’에 실렸다. doi: 10.1016/j.jclepro.2019.118626 또 다양한 바이오가스를 연료로 이용해 SOFC 시스템을 설계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에너지’에 실었으며, 신에너지 기술 관련 논문 2개가 추가로 심사중이다.

 

Perhaps helped by the conducive atmosphere, his research has recently led to significant outcomes. He has developed a technology that increases energy efficiency and reduces the nitrogen oxide in exhaust gas emissions. The outcome exceeded the performance target, raising expectations for commercialization, and resulting in the research being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a well-known energy journal. His design of a SOFC system using various biogases as fuel was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Energy, while two additional papers related to new energy technology are under review.


라히미페트루디 연구원은 이처럼 R&D 프로젝트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둬 최근 KIER에서 상도 받았다.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최첨단 청정연소 기술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끄는 데 기여한 공로을 인정 받은 것이다.

 

Rahimipetroudi recently received an award from KIER for his outstanding achievements in R&D projects. The award was in recognition of his leading contributions to several successful R&D projects related to cutting-edge clean combustion technology because of his interdisciplinary skills and experiences at both modeling and experimental-based combustion researches.


올해로 박사과정 3년차에 접어든 그는 더 좋은 결과를 위해 계속해서 특유의 꾸준함을 앞세워 연구에 몰두할 계획이다. 그는 “최첨단 연구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한편, 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후배들이 꿈을 실현하도록 돕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Having entered his third year in the PhD program this year, he disclosed his plans to continue focusing on research for better results. “I want to contribute to making the earth a better place to live and help the students behind me realize their own dreams through the student mentoring program,” he stated.

 

 

Rahimipetroudi preparing an experiment related to smart heat treatment technology at a KIER laboratory (top)

Rahimipetroudi with Professor Dong Sang-Keun in front of the KIER laboratory last spring (bottom)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1년 03월 과학동아 정보

  • 대전=조혜인 기자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에너지공학
  • 화학·화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