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Tech & Fun] 토끼를 잡는 데 전력을 다한 사자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26


게임을 해본 이들이라면 잘 알 것이다. 멋지고 ‘짱짱쎈’ 필살기만 쓰면서 적을 물리칠 수는 없다.

‘Magic Point(MP)’라는 게 있어서 기술을 쓸수록 MP가 줄어든다. 마구잡이로 쓰다가는, 정말 필살기가 필요할 때 쓰지 못할 수도 있다. 마치 모든 힘을 토끼에 쏟은 사자가 통통한 물소 떼를 넋 놓고 바라보기만 해야 하는 것처럼 말이다.

사람에게도 MP가 있다. 포근한 이불의 유혹을 물리치고 밖으로 나오게 하고, 시험공부를 위해 도서관으로 발걸음을 옮기게 하며, 다이어트를 위해 치킨을 뿌리치게 하는 ‘의지력(willpower)’이다. 심리학자들에 따르면 이런 의지력은 MP처럼 한정된 자원이다.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 심리학자 바우마이스터 교수도 의지력을 모두 다 써버리면 정신력이 방전되는 ‘자아 고갈 현상(ego-depletion)’이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때문에 의지력을 적당히 배분하고, 충전하는 것이 목표달성에서 중요하다.


의지력이 떨어지면 부인이건 남편이건 ‘웬수’!

의지력을 충전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휴식이다. 게임 속 용사가 여관에서 푹 쉬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렇게 푹 잠을 자는 것도 효과적이지만 잠깐 TV를 보며 멍 때리기, 시시콜콜한 농담 따먹기 등도 정신력 회복에 도움이 된다.

두 번째 방법은 음식이다. 특히 달달한 포 도당은 정신력 충전에 도움이 된다. 의지력 사용으로 자아 고갈 현상이 일어났을 때, 설탕물을 마신 사람들이 다른 음식을 섭취한 사람들보다 빨리 회복했다(doi:10.1037/0022-3514.92.2.325). 참고로 의지력과 관련이 있는 우리 뇌는 체내에서 가장 많은 포도당을 사용하는 기관이다.

혈당이 떨어지면 주의력과 논리적 사고력은 물론이고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결과도 있다. 한 예로 혈당이 낮을수록 가족들이 둘러앉은 저녁 식탁에서 부부싸움이 더 격렬해진다(doi: 10.1073/pnas.1400619111). 당이 떨어지면 배우자를 나타내는 인형에 저주를 내리거나 더 많은 바늘을 꽂았다. 남을 배려하는 친절이라는 감정에는 에너지 소모가 크기 때문에, 당이 떨어진 사람은 주위에서 퉁명스럽고 차갑다는 평가를 받곤 한다.

쓸데없이 정신력이 새 나가는 것도 막아야 한다. 과도한 불안이나 스트레스가 대표적인 정신력 낭비의 주범이다. 이를 위해 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하는 것이 중요한데, 필자가 추천하는 간단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은 ‘생각 찢기’다. 부정적인 기억이나 생각 때문에 힘들 때는 그것을 물리적으로 없애버리는 게 심리적으로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doi:10.1177/0956797612449176). 예컨대 나를 귀찮게 하는 직장 상사의 이름을 종이에 적은 뒤, 그것을 발기발기 찢어 쓰레기통에 버리면 부정적인 생각이 줄어든다.


나는 한다, 공부를 반드시

아무리 아껴 쓰고 다시 채워도, 의지력은 결국 한정된 자원이다. 때문에 심리학자들은 어떤 일을 할 때 의지력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예 쓰지 않고도 해야 할 일을 너끈히 할 수 있는 좋은 습관을 들이라고 조언한다. 식습관이나 운동습관 같은 작은 습관부터 직장에서 일에 열중하거나 꾸준히 공부를 하는 습관 등을 평소에 잘 설계해 두면 따로 의지력을 쓰지 않고도 해야할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연구자들이 추천하는 습관을 만드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If-then(~하면 ~한다)’ 방법이다. 일단 If-then형태로 하고자 하는 일을 설정하자. 문장은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해야 한다. ‘운동을 열심히 하자’ 같은 두루뭉술한 목표로는 ‘내일부터 하면 되지 않을까’라는 유혹을 이기기 어렵다. ‘학교를 마친 뒤엔 헬스장에 간다’같은 구체적인 실천문이 좋다. 실천이 쉬운 소소한 명령문을 추가하는 것도 좋다. 다이어트를 할 때 ‘아침에 눈을 뜨면 팔굽혀펴기를 5번 한다’, ‘계단을 보면 무조건 걸어간다’ 등으로 좋은 습관을 곳곳에 침투시키면  악마의 유혹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6년 02월 과학동아 정보

  • 박진영 작가
  • 일러스트

    더미
  • 에디터

    송준섭

🎓️ 진로 추천

  • 심리학
  • 식품학·식품공학
  • 사회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