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6/RmDKFPmRKsXmdsalixqd_77920100628.jpg)
2010년까지 보존 목표 하나도 못 이뤄
이번 보고서의 성적표는 다소 우울하다. 2002년 열린 생물 다양성협약에서는 193개국이 멸종위기 동·식물을 보호하고 생태계을 보전하기 위해 2010년까지 21가지 목표를 이루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 이 목표를 100% 달성한 항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각국은 전 세계 생태지역 가운데 최소한 10%를 보전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당초 목표치의 절반 정도만 보전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몇몇 보호지역에서는 관리가 엉망이었고 바다와 호수, 강에서 보전 노력은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파괴되는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6/g6DtimUWGhw8L36KiQme_26920100628.jpg)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시장에서 야생화와 야생동물의 무역이 이뤄지면서 거래량이 꾸준히 늘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을 통해 증가세가 조금씩이나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6/RfVsEd7jcrCFTII9FtCh_10720100628.jpg)
조류·양서류 40% 멸종
현재까지 발견돼 인류가 알고 있는 생물은 동물이 150만 종, 식물이 50만 종에 이른다. 보고서에 따르면 척추동물의 경우 조류 1만 종, 양서류 6만 종, 포유류 5000종이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 특히 1970~2006년 척추동물 개체 수는 31%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지역에서는 59%, 청정해역에서는 41%가 자취를 감췄다. 척추동물의 세계적 분포를 통해 생물다양성을 측정하는 ‘살아 있는 지구 지수(Living Planet Index,LPI)’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1970년 이후 온대지역의 생물 개체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6/CCoEYwO6peoUw7VVwH4i_25820100628.jpg)
반면 남동아시아와 태평양 섬 지역, 극지에서는 새들이, 남동아시아에서는 포유류가, 중남미와 카리브 연안에서는 양서류가 급격히 줄고 있다. 실제 지금의 개체 수 감소 추세는 1970년대 중반 이후 열대 지역에서 척추동물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발생한 것이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6/t7uGhIhwby0z5IffLdmx_62920100628.jpg)
동물 중에서는 양서류와 새들이 가장 크게 줄어들었다. 1960년대 이후 양서류의 42%가 사라졌다. 1968~2003년 북미 지역에서 서식하는 야생조류 40%가, 1980년대 이후 유럽의 농촌 지역에서 기르는 조류 절반(50%)이 사라졌다. 현재도 1200종이 넘는 물새 가운데 44%가 줄고 있는 추세다. 이들 가운데 식용이나 약용으로 쓰이는 동물의 감소 속도는 상상을 초월한다. 보고서는 이 외에도 식물종의 23%도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가나와 말리, 나이지리아, 잠비아에 사는 어린이의 60%가 허브로 열병을 다스린다고 조사했다. 특히 네팔의 경우 450종이 넘는 약초를 민간요법으로 쓰고 있다. 전 세계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 인구 중 80%가 식물을 약으로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보고서는 이들 약용 식물이 사람들에게 신뢰감을 주고는 있지만 과도한 채집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쌀 품종만 보더라도 1950년대 중국에서 4600종에 이르던 품종이 2006년에는 1000종으로 크게 줄어 유전적 다양성도 위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6/k3bLZgMZSEVYTiI6iznK_10120100628.jpg)
보고서는 이 같은 생물 멸종에 인간이 직접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산업화와 무분별한 개발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동남아시아, 남미에서 생물종 감소가 두드러진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6/gn2xtMT7ZwKjTFl0aPDl_86520100628.jpg)
지구는 동식물이 서로 유기적인 작용을 하는 거대한 ‘에코시스템’이다. 하나의 종이 사라지면 그 종을 먹고사는 종은 얼마 못 가 개체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물론 인간도 예외일 수는 없다. 국제자연보호연맹(IUCN) 관계자는 “생물 멸종이 가속화되면 결국 인간 사회도 붕괴될 수밖에 없다”며 “종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멸종 속도 빨라져 인간 사회 위협할 것”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6/oQdDWvhBuVUMv5WUyKGL_19320100628.jpg)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숲 외에도 남·북반구의 열대우림과 사막 중간에 분포하는 열대초원인 사바나 지역과 초지가 급격히 줄고 있다는 결과도 나왔다. 아프리카에서는 앙골라부터 탄자니아에 이르는 넓은 초지 가운데 알제리 면적과 맞먹는 240만km2가 사라졌다.
보고서는 또 “산업용수와 농업용수, 상하수도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강과 하천, 호수, 습지는 다른 어떤 생태계보다 드라마틱한 변화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1985년까지 56~65%의 담수가 말라붙었으며 특히 그리스는 1930년대 이후 73%의 습지가 사라졌다. 이 밖에도 대부분의 해양 생물들이 모여 사는, 해양 생태계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산호초 역시 해양오염과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난 10년간 20% 이상 면적이 줄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6/pgM2u6t34wTUiLfwtMpT_59820100628.jpg)
보고서는 “생물의 멸종속도와 서식지 감소는 이번 세기에 더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생물다양성이 떨어지면 인간 사회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기후변화에 따라 동식물의 서식지가 최소 수백~수천km씩 옮겨가거나 아예 사라질 경우 농업과 어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청정해역의 오염은 어류의 감소를 가져와 결국 어업을 주업으로 삼는 저소득층의 생업과 식량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06/ujoKkNacr1rzNpQsQGEl_37220100628.jpg)
환경 전문가들은 현재 생물의 멸종속도를 ‘평균 20분에 1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런 상황을 피하려면 강도 높은 규제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유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가 나서서 온실가스 배출을 직접 규제하는 것 같은 강도 높은 조치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또 각국 정부가 강력하게 거주지를 제한하고 토지개간, 어업 공간을 규제하고 주요 보호지역의 출입금지, 바이오연료 확산 금지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 전문은 생물다양성기구 홈페이지(www.cbd.int)에서 볼 수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