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Some motivate by way of whips, others via carrots. Brent Schulkin opted for the latter when he invented a kind of reverse boycott he calls a Carrotmob. As a Carrotmob, customers swarm stores that use some of their cash to get eco-friendlier.

“Forget whips, and stick with carrots instead. Boycotting, protesting, lawsuits -it’s about going into attack mode. But there are no enemies to Carrotmob.” says Schulkin, 28, a San Francisco-based activist turned entrepreneur.

The movement was born on March 29, 2008, when hundreds of green-minded patrons poured into a San Francisco convenience store as promised, after Schulkin solicited bids from 23 stores in the area to find the business that would promise to spend the highest percentage of Carrotmob profits on more energy-efficient lighting. The crowd spent more than $9,200 at the K&D Market, which then fulfilled its pledge to plow 22% of the day’s revenue into greener lighting.

Since then, Carrotmobs have branched out to 10 other U.S. cities-with offshoots in Finland and France-Montagnaro who is an organizer in philadelphia has been lugging 50-lb. bags of carrots across Philadelphia’s college campuses, handing out thousands of carrots labeled with his blog address to spread the word about Carrotmobbing. The biggest surprise to Montagnaro-who says he planned to start aiming Carrotmobs at small stores in the center of Philadelphia-is how quickly older people grasp the concept. “Someone 65 or 70 often gets this new environment protecting activism right away. People my age can be slower.”

The reverse boycott is perfect for the growing cadre of slactivists. Slacktivists mean slackers who care just enough about causes to sign online petitions and join Facebook protest pages but lack the time, money or drive to do much else.

Participants don’t have to donate anything. They just shop for products they were planning to buy anyway, adjusting the time and place of purchase.

So what’s next for Carrotmobbers? Schulkin is focusing on launching a for-profit Carrotmob spinoff called Virgance. Virgance will start up and help small organizations that offer collaborative market solutions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Carrots are looking greener every day.

해석 동기부여에는 채찍과 당근이라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일종의 역(逆)-보이콧인 캐롯몹을 고안한 그렛 슐킨은 후자를 선택했다.

“채찍은 잊어버리고, 대신 당근을 고수하세요. 보이콧, 항의 데모, 소송…. 이들은 모두 공격적이에요. 하지만 캐롯몹에게는 적이 없죠.” 샌프란시스코에서 시민운동을 하다가 사업가로 변모한 28세의 슐킨이 말한다.

이 환경운동은 2008년 3월 29일, 샌프란시스코의 한 동네에 있는 23개의 상점 중에서 친환경적 조명기구로 바꾸는데 이윤의 가장 높은 퍼센테지를 사용하기로 약속한 가게가 입찰로 선택되면서 시작했다. 약속대로 수백 명의 친환경적인 생각을 가진 후원자들이 그 편의점으로 몰려가 물건을 구매했다. 군중은 K&D 마켓에서 9200달러(약 1200만 원)어치의 물건을 구매했고 이 상점은 약속대로 그날 수입의 22%를 친환경적인 조명으로 교체하는 데 사용했다.

이제 캐롯몹 운동은 미국 내 10개 도시와 핀란드와 프랑스에까지 전파됐다. 필라델피아 모임 주체자인 몬태그나로는 당근이 든 50파운드(약 23킬로그램)의 가방을 들고 필라델피아의 대학 캠퍼스를 돌아다니면서 캐롯몹의 블로그 주소가 적힌 수천 개의 당근을 나누어줬다. 가장 놀라운 사실은 어르신 세대가 이 개념을 빠르게 이해했다는 점이다. “65세 혹은 70세의 분들이 이 새로운 환경보호운동을 즉각적으로 이해하시더군요. 오히려 내 세대의 사람들이 더 느릴 정도에요.”

이 역-보이콧은 점점 늘어나는 ‘느림보 운동가(슬랙티비스트)’에게 딱 적합하다. ‘느림보 운동가’는 온라인 청원에 서명하고 페이스북(미국의 싸이월드)의 항의서명 페이지에 가입할 정도로 환경운동에 관심이 있지만, 그 이상 무엇을 하기에는 시간과 돈, 의욕이 부족한 사람들을 뜻한다. 참가자는 무엇을 기부할 필요가 없다. 어차피 사야 할 물건을 장소와 시간을 조정해서 구매하는 것뿐이다.

그렇다면 캐롯몹의 다음 목표는 무엇인가? 슐킨은 캐롯몹에서 파생된 Virgance라는 회사를 설립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곧 시작될 Virgance는 사회·환경 문제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시장과의 연계법을 제공하는 작은 단체들을 도울 것이다. 당근은 매일 조금씩 더 녹색으로 변신하고 있다.

●Check Point
21세기형 시위 문화가 탄생했다. 이번호에서는 미국의 환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일고 있는 새롭고 평화적인 시위문화를 살펴보도록 하자.




※ 기사의 원문 및 사진의 저작권은 타임워너사에 있으나 한국의 학생들에게 맞게 문장과 단어를 수정하고 재편집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9년 07월 과학동아 정보

  • skyrider 기자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경영학
  • 사회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