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는 크기가 작고 구조가 간단해 혼자서는 생존하지 못하고 세포나 박테리아에 기생해 생명을 유지한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세포나 박테리아가 아닌 바이러스에 기생하는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최근 새롭게 밝혀졌다.
프랑스 마르세이유 지중해대 생물학과 베르나르 라 스콜라 교수팀은 ‘스푸트니크’라는 작은 바이러스가 또 다른 바이러스인 ‘미미바이러스’에 기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네이처’ 8월 7일자에 발표했다.
이번에 발견된 스푸트니크는 1만 8000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진 염색체를 지녀 21개의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작은 바이러스다. 이에 반해 미미바이러스는 120만 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된 염색체를 지닌 거대한 바이러스인데, 보통 바이러스가 전자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는데 비해 광학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라 스콜라 박사팀은 미미바이러스를 연구하던 중 미미바이러스 안에 스푸트니크가 들어 있는 경우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스푸트니크가 바이러스가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 스푸트니크에 감염된 미미바이러스가 성장하는 모습과 증식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그 결과 스푸트니크에 감염된 미미바이러스는 외벽이 두꺼워지고 기형적인 형태로 변하며 성장이 억제됐으며 증식도 둔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직접 스푸트니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스푸트니크가 지닌 21개의 유전자 중 3개가 박테리아에 기생하는 다른 바이러스로부터 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사실은 스푸트니크가 다른 바이러스와 유전정보를 교환했다는 뜻으로 바이러스끼리 감염이 있었다는 증거다.
프랑스 마르세이유 지중해대 생물학과 베르나르 라 스콜라 교수팀은 ‘스푸트니크’라는 작은 바이러스가 또 다른 바이러스인 ‘미미바이러스’에 기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네이처’ 8월 7일자에 발표했다.
이번에 발견된 스푸트니크는 1만 8000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진 염색체를 지녀 21개의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작은 바이러스다. 이에 반해 미미바이러스는 120만 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된 염색체를 지닌 거대한 바이러스인데, 보통 바이러스가 전자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는데 비해 광학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라 스콜라 박사팀은 미미바이러스를 연구하던 중 미미바이러스 안에 스푸트니크가 들어 있는 경우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스푸트니크가 바이러스가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 스푸트니크에 감염된 미미바이러스가 성장하는 모습과 증식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그 결과 스푸트니크에 감염된 미미바이러스는 외벽이 두꺼워지고 기형적인 형태로 변하며 성장이 억제됐으며 증식도 둔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직접 스푸트니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스푸트니크가 지닌 21개의 유전자 중 3개가 박테리아에 기생하는 다른 바이러스로부터 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사실은 스푸트니크가 다른 바이러스와 유전정보를 교환했다는 뜻으로 바이러스끼리 감염이 있었다는 증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