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혼을 잃고 헤매는 가엾은 육체의 광시곡 바디

주인공인 촌라싯(아락 아몬수파시리 분)은 의대생을 누나로 둔 평범한 대학생이다.

어느 날 그는 우연히 오페라 극장에서 만난 남자의 지갑을 줍고, 그 뒤 밤마다 이상한 악몽과 환상에 시달린다.

촌라싯은 꿈에서 의문의 남자가 한 여자를 죽여 몸을 조각내는 장면을 목격하고, 이 꿈은 매일 반복된다. 그는 상담을 받기 위해 정신과 의사 우사(크리티라 인폰위지트)를 찾고, 이때부터 그의 꿈이 하나씩 현실로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영화 ‘바디’는 ‘셔터’(2005년)와 ‘샴’(2007년)의 제작진이 선보인 태국 공포영화로 올해 국내에서 개봉된 첫 공포물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영화 포스터에서 ‘인간의 몸은 5리터의 피, 6파운드의 피부, 206개의 뼈, 600개의 근육으로 이뤄져 있다’는 문구가 눈에 띄는데, 사실 이 모든 기관을 관장하는 뇌는 약 1.4kg에 불과하다.

뇌에서 공포를 느끼면 가장 먼저 자율신경이 반응한다. 자율신경은 인간의 의지로 조절할 수 없는 심장의 박동, 폐의 자발적 호흡, 내장의 소화기능을 관장한다. 공포영화를 보면서 겁에 질려 심장이 두근거리고 숨을 헐떡이는 현상은 뇌가 내보내는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자신의 의지로 조절할 수 없다. 운동경기를 보면서 손에 땀을 쥐는 이유도 땀샘 분비 기능이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밤마다 이상한 악몽과 환상에 시달리는 주인공. 그의 눈앞에 나타난 ‘다라라이’는 환각일까 실제일까.


정신을 갉아먹는 환각과 불면증

영화 초반, 촌라싯이 정체불명의 귀신을 목격한다고 말하자 누나 에이(오니라 람윌라이 분)는 그가 정신분열을 앓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한다. 그러던 어느 날 촌라싯이 손가락을 칼에 베이자 에이는 상처를 꿰매주기 위해 그를 데리고 병원에 숨어든다. 그러나 에이가 바늘을 찾으러 간 사이 촌라싯은 병원 직원에게 발각돼 해부학 조교에게 넘겨지고, 해부학 조교는 촌라싯의 상처를 직접 치료한 뒤 정신과 의사인 우사를 소개시켜준다. 그 역시 촌라싯이 정신분열 환자라고 생각한 것일까?

환각은 정신분열병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하지만 환각을 호소하는 환자 중에는 정신분열보다는 약물 중독을 앓는 경우가 훨씬 많다. 사실 환각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서 가장 먼저 의심할 병명은 약물 중독이다. 영화에서도 해부학 조교가 촌라싯의 환각 증세에 의구심을 나타내자 촌라싯은 갑자기 팔을 걷어붙이며 피부에 주사바늘 자국이 없음을 보인다.

마약성 제제의 일종인 코카인이나 필로폰(암페타민)은 환각 외에도 환시, 환촉, 피해망상 같은 증세를 일으킨다. 가령 필로폰 중독 환자는 의식은 멀쩡한데 누가 자신을 해치려 한다는 망상과 이런 망상에 어울리는 환청과 환시가 생긴다. 피부 아래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것 같은 환촉도 흔히 나타난다.

영화 중반, 병원에서 돌아온 촌라싯은 환각 증상이 심해져 급기야 누나를 귀신으로 착각해 목을 졸라 죽이려 한다. 그는 정신과 의사 우사를 찾아가 상담을 받기로 하는데, 면담 자리에서 우사는 그에게 대뜸 잠은 잘 자고 있냐는 질문부터 던진다. 우사는 왜 잠에 대해 물었을까.

불면증은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현상으로 잠이 들기 어렵거나 잠을 계속 자기 어려운 경우로 나뉜다. 간혹 아침에 너무 일찍 깨거나 충분히 잠을 잔 뒤에도 피곤한 경우가 불면증에 포함되기도 한다.

불면증은 아무 이유 없이 생기기도 하지만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같은 질병 때문에 나타나기도 한다. 이 경우 환자는 불면증이 아니라 질병에 대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보통 불안장애가 있으면 잠이 들기 어렵고, 우울증이 있으면 잠을 계속 자기가 어렵다.

우사가 촌라싯에게 잠을 잘 자냐고 물은 이유는 그가 우울증을 앓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흔치는 않지만 심한 우울증에 걸리면 환각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우울증을 치료하면 환자의 불안감이나 우울한 기분이 사라지는데, 그보다 먼저 불면증이 호전되고 식욕이 돌아온다. 정신과 의사가 우울증 환자에게 잠을 잘 잤는지 묻는 이유는 단순한 인사치례가 아니라 치료가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한편 불면증을 치료할 때는 약물 처방보다는 매일 같은 시간에 잠들고 아침마다 운동을 하는 등 생활 습관을 바꾸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우선이다. 잠자리에 누웠는데 잠이 안 오면 잠이 올 때까지 다른 일을 하는 편이 좋고 낮잠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2002년 개봉한 영화 ‘인썸니아’는 불면증에 시달리는 주인공의 고뇌를 잘 그리고 있다.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는 측두엽(1)의 해마로 알려져 있다.


저장만 되고 회상 안되는 기억

우사는 촌라싯과 면담하면서 그에게 어떤 큰 사고 이후 생긴 무의식적인 기억이 숨겨져 있음을 알아낸다. 기억의 내용은 ‘다라라이’라는 이름의 여자가 억울하게 죽은 자신의 조각난 몸을 찾아달라는 것. 우사는 독자적으로 이 사건을 조사하면서 다라라이가 평소 맘에 들지 않는 상대에게 최면을 걸어 무의식적인 기억을 되살려냈다는 소문을 듣는다. 무의식적인 기억이 가능할까.

인간의 대뇌는 이성과 논리적 판단을 하는 전두엽, 감정과 기억에 관계된 측두엽, 운동과 감각 피질이 많은 두정엽, 시각피질이 밀집한 후두엽으로 나뉜다. 현재까지 알려진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억은 뇌의 측두엽에 있는 해마(hippocampus)에 저장되고 재현된다.

기억은 상황이나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한 뒤 회상하는 세 과정으로 이뤄진다. 이 세 과정 중 어느 한 단계에 문제가 생기면 기억장애가 생길 수 있다. 영화에서처럼 무의식적인 기억은 기억이 뇌에 저장되지만 회상은 되지 않는 상황을 말한다.

최면치료 옹호자들은 최면으로 무의식적인 기억을 되살릴 수 있다고 주장하고, 정신분석 옹호자들은 환자와의 면담이나 잠재몽(잠자는 사람을 깨우려는 무의식적인 관념) 연구로 무의식적인 기억을 다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기억은 뇌에 입력된 순서에 따라 즉시기억, 최근기억, 오랜기억으로 나뉘기도 한다. 영양 부족이나 두부외상 환자는 즉시기억이 떨어지고, 알츠하이머나 뇌졸중을 앓는 경우 최근기억이, 알츠하이머가 어느 정도 진행된 환자는 오랜기억이 손상된다.

흔히 임상에서는 사과, 배, 비행기 같은 세 단어를 연속으로 불러주고 몇 분 뒤 다시 물어 이 단어들을 대답할 수 있는지 확인해 간단히 즉시기억을 테스트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즉시기억이 전두엽 피질에 저장되고 이것이 최근기억으로 바뀌어 측두엽 해마에 저장된 다음 마지막으로 이것이 오랜기억으로 바뀌어 뇌의 어느 곳에 저장된다.
 

영화‘파이트 클럽’은 자신에게 자유를 줬던 친구가 알고 보니 자신의 다른 인격체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새로운 주체성 갖는 심인성 둔주

영화 후반, 엽기적인 연쇄살인사건이 벌어지고 사건 현장에서는 촌라싯과 관련된 증거들이 발견된다. 촌라싯은 정신과 의사인 우사를 찾아가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려고 하지만 우사는 진짜 촌라싯은 몇 주 전 교통사고로 사망했고 그의 누나 에이가 사실은 다라라이라는 충격적인 소식을 전한다. 그리고 우사를 찾아온 촌라싯은 다라라이에게 최면이 걸린 자신의 남편이라고 말한다.

우사의 주장처럼 우사의 남편과 촌라싯이 동일 인물일 경우 그는 해리성 장애를 겪고 있다. 해리성 장애는 정상적인 의식 상태에서 벗어나 기억을 상실하거나 자신의 정체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몽유병도 해리성 장애의 일종이지만 대개는 수면장애로 분류된다.

영화에서 촌라싯과 우사의 남편이 보이는 증상은 심인성 둔주(도망쳐 달아남)에 가깝다. 심인성 둔주란 뇌에 특별한 장애가 없는데도 자신의 주체성에 대한 기억을 잃은 채 새로운 주체성을 갖고 가정이나 직장을 떠나 예정에 없는 여행을 갑작스럽게 떠나는 해리성 장애의 하나다.

환자는 대개 새로운 이름을 갖고 행동도 흐트러지지 않아 정상인처럼 보이며 수 시간에서 수 일간 지속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수 개월간 수만리를 걸어 해외를 여행하는 경우도 있다. 흔히 둔주 기간에 일어난 일은 기억하지 못한다. 외국 영화 중에는 ‘파이트 클럽’(1999년), ‘아이덴티티’(2003년)에서, 국내 영화 중에는 ‘두 얼굴의 여친’(2007)에서 심인성 둔주가 잘 묘사돼 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8년 07월 과학동아 정보

  • 강석훈 가정의학과 전문의

🎓️ 진로 추천

  • 심리학
  • 의학
  • 문화콘텐츠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