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미경으로 보는 바람떡, 싸리버섯, 보석 꽃가루

제3회 전국 바이오현미경사진전 당선작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아름다움의 세계. 보건복지부, 충청북도, 충북대와 오송바이오진흥재단이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후원하는 제3회 전국 바이오현미경사진전의 당선작을 소개한다. ‘색깔 속의 과학’(Science in Color)을 주제로 한 이번 대회에서는 지난해보다 2배나 늘어난 총 226개 작품이 출품돼 대상 1개 작품을 포함한 본상 수상작 16점과 입선작 48점이 선정됐다. 당선작은 홈페이지(biomicro.bkidc.or.kr)에서 온라인으로도 볼 수 있다.

바람떡 _대상
김대성 ·남한강초등학교 (지도 남한강초 오기석)
모서리가 둥글게 접힌 아담한 모습이 맛있는 바람떡(개피떡) 같다. 연꽃(Nelumbo nucifera) 수술을 1000배 확대해 찍었다. 책갈피에 넣어뒀던 노랑어리연꽃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던 중 수술 부분의 꽃가루가 바람떡처럼 보이는 모습을 포착했다.


바람떡



싸리버섯 _바이오창의상 고등부
이은희 ·청주대성고 (지도 대성고 박종열)
심한 가뭄 때문에 거북 등처럼 갈라진 말라붙은 땅, 그 사이에서 작은 싸리버섯 하나가 조심스레 돋아났다.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의 등에 난 털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작품이다.
곤충의 털이라기보다는 예쁜 싸리버섯이나 꽃처럼 보인다. 배율은 3000배다.


싸리버섯



초코파이 _바이오창의상 일반부
윤석제 · 상명대 생물학과
달콤한 초콜릿을 바른 파이 사이에 하얀 마시멜로가 끼워진 모습이 초코파이와 무척 닮아 절로 군침을 삼키게 만든다. 바다 위를 떠돌아다니며 광합성하는 작은 식물성 플랑크톤인 돌말류(Roperia tesselata)가 두 개체로 분열하는 순간의 모습을 확대해서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배율은 1500배.


초코파이



쌍둥이 자매 _바이오공학상 일반부
정승원 ·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동그란 알 몇 개가 나뭇가지에 쌍둥이 자매처럼 사이좋게 매달려 있다. 바다에 사는 단세포 식물 플랑크톤인 칼로디니움(Karlodinium)을 찍은 작품. 편모(파란색)가 달려있어 가로세로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 종은 과다 증식할 경우 적조를 일으켜 생태계를 위협한다. 배율은 3000배.


쌍둥이 자매



보석보다 예쁜 꽃가루 _바이오문화상 초중등부
김태완 ·청주동중학교 (지도 청주동중 안자상)
삼각형 모양으로 정교하게 세공된 보석 같다. 수생식물인 노랑어리연꽃(Nymphoides peltata)의 꽃가루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작품. 배율은 4000배다. 삼각형 모양의 꽃가루는 다른 식물에서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특이한 모습이다.


보석보다 예쁜 꽃가루



포식자들 _바이오기술상 고등부
이은성 ·한국과학영재학교 (지도 서울대 안태인)
사냥감을 덮치는 위풍당당한 포식자의 모습. 아메바가 노란색 섬모충류 테트라히네마(Tetrahymena)를 붙잡는 순간을 광학현미경으로 찍었다. 식포 안에 이미 소화되고 있는 테트라히네마가 보인다. 아메바는 평소 위족을 사방으로 벌려 먹이를 덮치지만, 위아래가 커버 글라스와 슬라이드 글라스로 막혀 있을 경우 양 옆만을 막아 먹이가 도망가지 못하게 붙잡는다. 배율은 200배.


포식자들


콩팥 수뇨관 _바이오창의상 초중등부
이종찬·대전느리울중학교 (지도 영재학교 김중곤)
수세미일까, 식물의 뿌리일까. 황금색으로 빛나는 이 작품의 정체는 쥐의 콩팥 수뇨관의 단면을 확대해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것이다. 배율은 359배. 수뇨관은 신장에 모인 오줌을 방광까지 운반하는 가늘고 긴 모양의 관이다. 다발 안에 관 모양의 조직이 보인다.


새싹 _입선
최진희 ·청주대성고
땅 위로 하나둘 머리를 내미는 새싹들의 생명력은 언제나 경이롭다.
금어초(Antirrhinum majus)의 잎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해 초록색을 입혔다. 배율은 260배. 마치 잎 표면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습이다.


새싹



엄마도 널 사랑한단다 _입선
이은정·순천대 생물학과
연보라색 하트 모양이 엄마의 따뜻한 사랑을 느끼게 해준다. 쥐의 자궁을 자른 후 단면을 염색해 관찰한 사진이다. 광학현미경으로 찍었으며 배율은 400배다. 수정된 난자는 자궁에 착상해 태아로 자라며, 자궁샘의 분비물은 수정된 난자가 착상하도록 도와준다.


엄마도 널 사랑한단다



삶은 계란 _입선
임도선 ·서울보건대학 치위생과
잘 삶은 계란을 반쪽으로 잘라놓은 모습. 쥐 피부에서 털이 자라는 모근을 확대해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곧 털로 자라날 모근의 단면에서 계란 느낌이 나도록 컴퓨터로 색을 입혔다. 계란 주변의 조직은 모근이 자라도록 영양을 공급하는 모낭세포들이다. 배율은 7000배.


삶은 계란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6년 10월 과학동아 정보

  • 이상엽 기자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 미술·디자인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