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절로 움직이는 물과 건포도

압력과 밀도 변화가 빚는 마술

뚝딱 실험 1 오르락내르락 건포도

■ 왜 그럴까?!

건포도는 사이다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사이다에 넣으면 가라앉는다. 그러나 사이다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기체가 건포도 표면에 달라붙으면 건포도의 밀도가 작아져 위로 뜨게 된다. 사이다 표면까지 건포도가 올라오면 달라붙었던 기포가 공기중으로 날아간다. 그러면 건포도는 다시 무거워져 가라앉게 된다. 이 과정이 되풀이되므로 건포도가 사이다 속에서 계속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이다.

뚝딱 실험 2 유리컵 빨대

■ 왜 그럴까?!

촛불이 꺼지면서 접시의 물이 순식간에 컵 안으로 빨려 올라가 접시에는 물이 남지 않는다. 물이 올라가는 이유는 온도 변화에 의해 컵 안 공기가 수축하기 때문이다. 촛불에 의해 열이 가해지면 컵 안의 공기가 팽창해 그 일부가 컵 밖으로 나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촛불이 꺼지면 컵 안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공기가 수축한다. 따라서 컵 안의 압력이 밖의 대기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접시에 있던 물이 빨려 올라가는 것이다.

한번 유리컵 안으로 빨려 올라간 물은 그대로 놓아두면 몇시간이 지나도 다시 흘러나오지 않는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3년 05월 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물리학
    • 화학·화학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