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 유리잔에 묻은 지문 채취하기

지문은 흔히 과학수사연구소에서 범인을 잡는 데 사용하지요. 그러나 병원에서는 지문을 통해 유전병 여부를 진단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지문은 어떤 종류가 있으며 또 지문채취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 봅시다.

지문이란 피부 아래쪽의 진피가 울퉁불퉁하게 주름진 손가락 끝의 굴곡을 말합니다. 이 주름 덕분에 미끄러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물건을 잡을 수 있지요. 동물 중에서는 손을 사용하는 원숭이와 오랑우탄 정도만이 지문을 갖는다는 것도 재미있지요.
 

지문의 3가지 기본 유형
 

인간 원숭이 오랑우탄만 지문 지녀

사람의 지문은 출생 5개월경 전에 형성돼 평생 변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비슷한 듯해도 다 다르게 생겨 마치 얼굴이 다른 것처럼 똑같은 사람은 하나도 없지요. 그래서 이집트 인도 중국 등의 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지장(指章)을 사용해 왔으며 지금도 중요한 서류에는 지장을 인정하잖아요.

지문은 궁상문(arch·반원형), 와상문(whorl·나선형), 제상문(loop·고리형) 등 세 가지로 크게 나누어지고 기타 여러가지 복합형이 있답니다. 이 3가지 형의 수는 개인 민족마다 출현빈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것을 알아낼 수 있는 것이랍니다.

자신의 지문을 선명하게 찍어 보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해보세요.

1. 손가락 첫째마디에 양옆까지 골고루 패드액을 묻히세요(인주나 스탬프를 써도 됩니다).

2. 흰 종이 위에 잉크를 묻힌 손가락을 돌려 한마디가 완전히 찍히도록 합니다.

3. 양손 모두 10손가락을 찍어 각 손가락에 번호를 적어둡니다.

4. 종이에 찍힌 지문을 잘 말린 다음 기본형을 보고 분류해 보세요.

실험방법

1. 자신의 지문이 유리잔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며 유리 잔에 묻어있는 지문의 위치를 확인하세요.

2. 지문 위에 연필심 가루를 살살 뿌리세요(집에서 사용하는 커피프림이나 재를 써도 잘 됩니다).

3. 가루를 후후 불어 골고루 잘 편 뒤 스카치 테이프로 찍어내 흰 종이 위에 붙입니다.
 

①유리컵에 지문을 남긴 다음 그 위에 연필심 가루를 뿌린다. ②연필심 가루가 뿌려진 곳을 스카치테이프로 눌렀다 떼어낸다. ③유리컵에서 떼어낸 스카치테이프를 흰 종이에 붙이면 지문이 나타난다.
 

보너스 실험

종이에 묻은 지문 채취하기

땀구멍에서 배출되는 여러 물질들 중 지방은 피부를 촉촉하고 부드럽게 유지시켜 줍니다. 지문이 찍힐 때는 이 지방물질이 남게 됩니다. 요오드를 이용하면 쉽게 채취할 수 있습니다. 요오드는 지방물질에 녹아 반응을 하게 되지요. 따라서 가열해 증기가 된 요오드가 종이에 닿아 지방이 있는 부위와 반응해 일정한 윤곽을 만들게 되고, 갈색 무늬가 특징적으로 나타나 지문을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실험방법

1. 지문이 묻어 있는 종이의 부분을 오려둡니다.

2. 요오드 결정 약간을 플라스크에 넣고

3. 요오드가 기체로 될 때까지 가열합니다. 이때 요오드 증기를 마시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4. 집게를 사용해서 오려둔 종이를 플라스크 안에 넣습니다.

5. 나타난 지문은 스카치 테이프로 붙이거나 다림질용 녹말풀을 분사해두면 보존할 수 있지요.
 

④플라스크에 요오드 결정 약간을 넣고 가열한다. ⑤요오드가 기체로 돼 증발할 때 지문이 묻은 종이를 대면 지문이 나타난다.
 

유전병 진단에도 이용

(그림1)에서 지문의 중심선 ⓒ와 각기 방향이 다른 세 선 교점 ⓣ를 연결하고 그 선에 닿는 가는 금을 세어보세요. 제상문의 경우에는 10개, 와상문의 경우에는 10개에서 12개 정도가 있습니다. 성염색체가 하나밖에 없는 어떤 유전병을 가진 여자의 경우에는 이 가는 선의 수가 33개이며, 성염색체가 3개인 경우에는 가는 선의 수는 8개밖에 되지 않는답니다.

이처럼 유전자의 이상이 임신 중의 발육 이상을 초래하고, 잘못된 형질이 그대로 손에 나타나므로 지문은 선천성 유전병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지요. 현재 미국에서는 유아의 지문을 조사해 선천성 심장병 진단에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림1) 굵게 그어진 선을 지나는 가는 선의 수를 세어 선천성 유전병을 진단할 수 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4년 03월 과학동아 정보

  • 장명애 회원
  • 사진

    지재만 기자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의학
  • 화학·화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