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3/M201603N033_12.jpg)
요즘 유행하는 네일아트에 수학을 담아서 설명하면 학생들이 수학을 친숙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테셀레이션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 뒤, 친구에게 수학 네일아트를 해 주면서 아름다운 추억을 남겨보자.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2/M201603N033_3.jpg)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테셀레이션을 다루고 있지 않지만, 미국의 MIC교과서나 핀란드의 교육과정에는 다각형의 성질을 활용한 테셀레이션이 포함돼 있다. 여기서는 테셀레이션을 담은 수학네일아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2/M201603N033_4.jpg)
알람브라 궁전의 패턴 벽화처럼, 동일한 패턴을 반복해 빈틈이나 겹치는 부분 없이 평면을 완전히 채우는 것을 테셀레이션이라고 한다. 화장실의 벽이나 바닥의 타일 배열도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간단한 테셀레이션이다. 우선 테셀레이션의 원리부터 살펴보자.
테셀레이션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한 점에 모인 도형의 내각의 합이 360°여야 한다. 단독으로 테셀레이션을 만들 수 있는 정다각형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세 가지가 있다. 그 이유는 같은 정다각형 여러 개를 한 점에 모았을 때 내각의 합이 360°가 되려면 한 내각의 크기가 360의 약수가 돼야 하는데, 정삼각형(60°), 정사각형(90°), 정육각형(120°)만이 이를 만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정다각형을 이용해 직접 테셀레이션을 만들어보자. 색종이로 정육각형을 오려 테셀레이션을 만들면 한 점에 모이는 정육각형은 몇 개일까? 3개다. 정육각형이 3개가 모여야 360°가 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삼각형은 6개, 사각형은 4개가 한 점에 모인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2/M201603N033_5.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2/M201603N033_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2/M201603N033_7.jpg)
3. 활동 1 : 다각형에는 어떤 성질이 있는가?
각 모둠에 개인별 활동지를 나눠 주고 다각형의 성질을 찾아보도록 한다.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의 크기가 같은 다각형을 정다각형이라 하고, 변의 개수에 따라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 정n각형이라고 한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2/M201603N033_8.jpg)
4. 활동 2 : 테셀레이션은 어떻게 만드는가?
활동지로 배부한 정사각형 도안지 위에 학생들이 직접 테셀레이션을 그리면서 평면이동(평행이동-밀기, 회전이동-돌리기, 대칭이동-뒤집기)을 이해하도록 자세히 안내한다. 4인이 한 모둠이므로 테셀레이션 도안을 8절지 위에 완성해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2/M201603N033_9.jpg)
다각형의 성질을 배운 뒤 테셀레이션을 담은 수학네일아트 활동을 하면, 학생들은 서로 친구들의 네일아트를 보며 즐거워한다. 지도 교사는 평소 사이가 소홀했던 친구들끼리 자리를 배치해 어색했던 사이가 완화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보는 것도 좋다. 이것은 아이들의 사회성을 기르는 데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2/M201603N033_10.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2/M201603N033_11.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2/M201603N033_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