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빙판길에서 쭉쭉 나아가는 스케이트는 정말 신나지요. 하지만 빙판길에서 미끄러지면 크게 다칠 수 있어요.

빙판이 얼마나 미끄러운지 알면 겨울 놀이도 즐기고,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겠지요? 최근 독일 수학자가 빙판길이 미끄러운 정도를 알 수 있는 함수를 밝혔습니다.

독일 율리히 연구센터의 보 페르손 박사는 스키 같은 단단한 물체를 빙판에 올려놓고 속도를 바꿔가며 미끄러지게 했습니다. 물체가 1초 당 약 0.00001m로 느리게 미끄러질 때는 마찰열이 약해 얼음 표면이 거의 녹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물체가 1초당 약 0.01m로 빠르게 미끄러질 때는 열이 더 많이 생기고 얼음 표면이 살짝 녹으면서 얇은 물막이 나타났습니다.

페르손 박사는 물체가 빨리 미끄러질수록 열이 많이 생기고, 물막이 더 잘 생기면서 쉽게 미끄러진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물체가 미끄러지는 속도’와 ‘물체가 닿는 빙판 표면의 온도’를 변수로 삼아 ‘물체가 미끄러지는 정도’를 계산하는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페르손 박사는 “고무가 빙판에서 어떤 원리로 미끄러지는지 연구 중”이라며 “빙판에서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 타이어와 신발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지 ‘화학물리학저널’ 12월 8일자에 실렸습니다.
 

2016년 01월 수학동아 정보

  • 김경환 기자

🎓️ 진로 추천

  • 물리학
  • 화학·화학공학
  • 기계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