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를 말하는 기수와 서수


수를 말하는 기수와 서수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학이 사칙연산이듯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수학은 기수와 서수다. 기수와 서수는 수를 세는 방법으로 기수는 1, 2, 3, … 처럼 우리가 수를 셀 때 흔히 사용하는 방법이고 서수는 첫 번째, 두 번째, … 처럼 순서를 고려한 방법이다. 물건을 사기 위해 가격을 물어 보고 시간 약속을 정하고 전화번호를 알기 위해서는 기수와 서수가 꼭 필요하다. 기수와 서수를 영어에서는 어떻게 쓰는지 어원과 함께 알아보자.

기수는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수로 1, 2, 3, …이다. 영어로는 cardinal number라고 하며 one, two, three, …다. cardinal은 라틴어 cardinalis(카르디날리스)에서 유래했으며 ‘주요한’ 혹은 ‘기본이 되는’의 의미가 있다. 즉 기수는 수의 기본이다. one, two, three, …는 고대 인도-유럽어에서 고대 게르만어로 다시 고대영어로 발전했는데, one은 an(안), two는 twa(트와), three는 preo(프레오)에서 유래했다.

기수 중 큰 수에 대해 알아보자.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는 10,000 이상을 나타내는 단어가 없었다. 그래서 ten hundred thousand, 즉 백만을 나타내는 million을 만들었다. billion은 bi와 million이 합쳐진 단어로 million의 제곱이라는 뜻으로 만들었다. 옛날 영국에서는 100만의 제곱인 1조를 billion이라고 나타냈다. 현재 billion은 10억을 뜻하고, 1조는 trillion이라고 한다. trillion은 tri와 million이 합쳐진 단어로 옛날 영국에서는 100만의 세 제곱인 100만조를 나타냈다.

지금부터 영어에서 기수가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자. 미국 화폐를 기준으로 그 종류를 알아보면 가장 작은 단위를 cent 또는 penny라고 한다. 5 cent는 1 nickel, 10 cent는 1 dime, 25 cent는 1 quarter, 50 cent는 half dollar라고 한다. 그 위로 1 dollar, 5 dollar, 10 dollar, 50 dollar, 100 dollar가 있다. 미국 가게에 가면 대개의 저렴한 상품은 dollar 단위로 딱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3.99 dollar 혹은 2.45 dollar 등과 같이 dollar와 cent가 같이 적혀 있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 금액을 읽는 방법을 알아보자.
 

여러 가지 금액 읽는 방법 알아보기


시간을 읽을 때도 기수로 말한다. 오전 6시는 six o’clock A.M. 혹은 six A.M., 오후 6시는 six o’clock P.M. 혹은 six P.M.이라고 한다. 여기서 A.M.이란 라틴어의 ante meridiem의 준말로서 ante는‘~전에’, meridiem은 ‘한낮’을 뜻한다. 따라서 A.M.은 ‘한낮 이전’이란 뜻이고 P.M.은 라틴어의 post meridiem의 준말로 post는 ‘~후에’라는 뜻이므로 ‘한낮 이후’, 즉 오후라는 의미다. seven o’clock in the morning과 같이 시간을 기수로 말하고 뒤에 해당되는 때를 나타내는 말을 붙여 주면 세련된 표현이 된다.

전화번호를 읽을 때는 번호를 차례로 읽으면 된다. 예를 들면 210-3476은 two one zero three four seven six라고 읽는다. 연도를 읽을 때는 2자리씩 분리해서 읽는다. 예를 들어 1950년도는 the year of nineteen fifty 혹 은 nineteen fifty고 2010년은 the year of twenty ten 혹은 twenty ten이다. 그런데 예외인 경우도 있다. 2000년을 영어로 읽을 때는 the year of two thousand 혹은 two thousand다.
 

기수와 서수의 철자는 서로 전혀 다르기도 하고 규칙에 따라 바뀌기도 한다.


서수는 순서를 가진 수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방식으로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와 같이 읽는 수를 말한다. 서수는 영어로 ordinal number라고 한다. ordinal은 ‘순서’,‘줄’을 뜻하는 라틴어 ordo(오르도)에서 유래했다.

첫 번째를 나타내는 영어는 first로 기수에서 one에 해당한다. first는‘앞’을 뜻하는 for에 최상급 어미인 st가 붙어 만들어진 forst에서 발전한 단어다. 두 번째를 뜻하는 second는 중세 프랑스에서 들어온 라틴어 계열 단어로 고대 영어에서는 oper(오퍼)라는 단어를 두 번째라고 썼지만 oper가 ‘또 하나’를 가리키는 other로 바뀌면서 second가 두 번째가 됐다. 세 번째는 third라고 한다.

기수와 서수의 철자는 서로 전혀 다르기도 하고 규칙에 따라 바뀌기도 한다. one, two, three는 서수로 first, second, third로 둘은 완전히 다르다. 하지만 네 번째부터는 기수와 구별하기 위해 많은 경우에 뒤에 th를 붙여 나타낸다. -ty로 끝나는 경우는 y를 ie로 바꾸고 th를 쓴다. 이 중 특이한 경우를 몇 개 알아보면 다섯 번째는 fifth, 열두 번째는 twelfth, 스물한 번째는 twenty first다.

영어에서 서수를 어디에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먼저 날짜를 말할 때 일에 해당하는 부분을 서수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6월 4일을 영어로 하면 June fourth, 8월 14일은 August fourteenth다. 층을 말할 때도 서수로 표현 하는데 7층은 the seventh floor다. 이 외에도 대로를 나타낼 때, 교과서의 내용을 나누는 기준인 과를 표현할 때 서수를 쓴다. 5번가는 the fifth avenue, 3과는 the third lesson이다.

기수와 서수를 동시에 쓰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분수를 표현할 때다. 분자는 기수로, 분모는 서수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3분의 1을 영어로 말하면 one third, 3분의 2는 two thirds다. 분자가 2 이상일 때는 분모에 s를 붙여 복수 형태로 말한다.

이번 호에서 공부한 내용은 특히 해외여행을 할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수와 서수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잘 익혀 두었다가 외국에 나갈 때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하자.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0년 06월 수학동아 정보

  • 진행

    홍원표
  • 이경주 영어 기고가

🎓️ 진로 추천

  • 언어학
  • 영어영문·영미학
  • 교육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