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동수비대는 국내 동물원 어디든 원하는 곳을 조사하면 되지만, 전국 200여 개 동물원을 고루 조사하기 위해 2기에는 지역특파원이 배정된 동물원을 추가로 조사할 임무를 받았어. 임무를 달성하면 수의과대학생과 멘토링을 할 수 있어. 그 첫 번째 만남이 열렸어!
우동수비대란?
우동수비대(우리동네 동물원 수비대)는 수의사와 함께 동물원을 연구해 동물과 사람이 행복한 동물원을 만드는 시민과학프로젝트로 1기는 2~5월 활동했고, 2기는 7~9월 활동합니다.
미션 완료한 지역특파원과 멘토, 만나다!
7월 11일부터 8월 11일까지 미션을 완료한 지역특파원은 모두 28명이었어. 이 친구들은 8월 24일부터 27일까지 4개 조로 나뉘어 수의과대학생 멘토 2~3명과 온라인에서 만나 진로에 대한 멘토의 발표를 듣고 궁금한 점을 물었어. 그중 25일에 나눴던 이야기를 살짝 공개할게!
멘토 발표 살짝 공개!
“수의학과란?”
나인혜 멘토(충북대학교)
기초과학부터 병의학까지 동물을 치료하기 위한 과목을 들어요. 개와 고양이만이 아니라 소와 돼지, 기니피그 등 다양한 동물을 배우죠. 졸업하면 병원의 임상수의사가 되거나 연구소의 비임상수의사가 된답니다.
“수의학과에 가기 위해 준비한 것은?”
안서린 멘토(서울대학교)
공부를 열심히 했어요. 또 학교 동아리에서 동물실험에 반대하는 캠페인과 미세플라스틱을 줄이자는 캠페인을 진행했죠. 고등학교 3학년 때는 동물과 환경에 대한 동화책을 만들어서 어린이집에서 구연동화를 했어요.
“왜 수의사가 되고 싶었나?”
유해나 멘토(제주대학교)
어릴 때부터 동물을 좋아했어요. 반려견과 생활했고, 승마를 하면서 ‘반야’라는 말도 키웠죠. 그러다 반야가 다리를 다친 모습을 보고 말 전문 수의사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했어요. 제주대학교가 말을 전문적으로 다뤄 이곳에 진학했답니다.
질의응답 살짝 공개!
Q수의학과에 가려면 어릴 때부터 성적이 좋아야 하나요? 안서린
초등학교 시절에는 공부보다는 마음가짐이 중요한 것 같아요. 동물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죠.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는 성적이 중요해요. 수의학과에 진학하려면 성적이 매우 좋아야 하거든요. 그래도 1등하겠다는 마음보다는 최선을 다해서 공부를 하겠다는 태도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Q동물 알레르기가 있으면 수의사를 못하나요? 나인혜
우리 학과에도 알레르기가 있는 동기가 있어요. 만약 알레르기가 심하다면 비임상수의사가 되어 연구를 할 수 있을 거예요. 심하지 않은 경우 알레르기를 관리하면서 임상수의사로 일하시는 분도 있답니다.
Q해부학 실험은 동물을 괴롭히는 일이 아닌가요? 유해나
수의과대학에서 동물을 치료하는 법을 실습으로 배우기 위해 해부학 실험을 하는데, 이에 대한 윤리적인 논란이 많아요. 어려운 문제지만, 실험동물의 고귀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더 많은 동물을 구할 수 있는 훌륭한 수의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답니다.
우동수비대 현황판
전라도편
각 동물원을 1~2등으로 조사한 대원은 현황판에 이름을 쓰고 기록을 증명하면 선물을 받을 수 있어. 1기에선 수도권을 중심으로 조사가 많이 됐지만, 지금은 전국에서 활약하는 친구들이 있단다. 전라도는 총 39개 동물원 중 18개 동물원이 조사됐어!
이달의 기록 - 대학생 멘토
수의과대학생 언니, 형들도 동물 복지 조사에 나서고 있어. 심화 교육을 바탕으로 동물들의 건강까지 살피고 있지!
김주현 대원(전남대학교)
광주 모 동물원
프레리도그
동물이 습성에 맞게 무리지어 있나요? 아니다
각 종의 습성에 맞는 바닥이나 구조물이 있나요? 아니다
동물이 관람객 눈에서 피할 수 있는 공간이 있나요? 그렇다
각 동물 종에게 필요한 풍부화 구조물은 저마다 달라요. 조사한 종에게 맞는 풍부화 구조물이 모두 있나요? 그렇다
멘토 노트
제가 프레리도그를 관람한 2시간 동안 두 개체가 단 한 번도 움직이지 않고 잠을 자고 있어서 정형행동을 하는지, 풍부화 구조물을 잘 사용하는지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낮에 활동하는 프레리도그의 습성을 생각했을 때 정상적인 행동이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프레리도그가 올라가서 쉴 수 있는 구조물과 세 면이 막혀 숨을 수 있는 공간이 있지만, 바닥재가 매우 얇게 깔려 있어 굴을 파는 습성을 발휘하지는 못할 환경이었습니다. 또 분변이 바닥 곳곳에 퍼져 있는 것으로 보아 동물사 청소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달의 기록 - 지역특파원
지역특파원이 배정된 동물원을 조사하면 수의과대학 언니, 형과의 멘토링 기회가 주어져!
김민솔 대원
경기도 모 동물원
토끼
동물이 실내에 살고 있나요, 실외에 살고 있나요? 실내외 혼합공간
각 종에게는 저마다 다른 쉼터가 필요해요. 조사한 동물 종의 모든 개체에게 편안히 쉴 쉼터가 각각 있나요? 아니다
동물사의 바닥에 물이 고이는 현상 없이 깨끗한가요? 아니다
먹이주기와 만지기 등 체험활동을 한다면, 사육사가 감독하는 동안에만 이뤄지나요? 그렇다
대원 한마디
먹이를 주는 횟수를 제한하지 않았고, 체험활동 전후에 손을 씻으라는 안내도 없었습니다. 토끼는 네 마리가 동물사 안에 있었는데, 매우 비좁아 보였습니다. 또 토끼들은 상자에 숨고 싶어했으나, 상자의 크기가 한 번에 최대 두 마리만 숨을 정도로 작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