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5/C201710N010_1.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5/C201710N010_2.jpg)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5/C201710N010_3.jpg)
우리는 튀어나온 큰 앞니로 땅 속에 굴을 파고 살아요. 마치 개미처럼 여왕 두더지쥐 아래 수많은 일꾼 두더지쥐와 군대 두더지쥐들이 복잡한 사회를 이루며 살고 있답니다. 보통 80마리에서 많게는 300마리까지 모여 살지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5/C201710N010_2.jpg)
정말 산소가 없는 데도 살 수 있어?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5/C201710N010_3.jpg)
연구팀은 일반 쥐와 벌거숭이두더지쥐를 산소 농도가 5%인 곳과 아예 산소가 없는 곳에 두고 관찰했어요. 일반 쥐는 산소 농도 5%인 곳에서 15분, 산소가 없는 곳에서는 1분밖에 살지 못했어요.
반면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산소 농도가 5%인 곳에서는 5시간 이상, 산소가 아예 없는 곳에서는 18분이나 견뎠지요. 게다가 다시 산소를 공급하자 몸에 별다른 손상을 입지 않고 회복됐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5/C201710N010_2.jpg)
어떻게 그게 가능한 거니?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5/C201710N010_3.jpg)
●과당 : 포도당과 같은 당의 일종으로, 벌꿀이나 과일에 많아 과당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우리는 산소가 부족하면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거의 움직이지 않아요. 1분당 200회였던 심장박동 수를 50회로 떨어뜨리고 호흡 속도도 늦추지요. 연구팀은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수백 마리가 함께 땅 속에 살아서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 자주 놓인다”며, “이런 생활에 적응한 결과일 것”이라고 말했어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5/C201710N010_2.jpg)
신기하다! 혹시 또 다른 특별한 능력이 있어?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5/C201710N010_3.jpg)
어때요? 우리 정말 특별한 동물이죠? 우리를 연구하면 질병을 예방하고 오래 사는 비밀을 밝혀낼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저는 이만 박사님들을 도와 주러 갈게요.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