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무더위가 찾아온 요즘, 기자는 한걸음에 바닷가로 달려왔습니다. 치사하게 혼자서 벌써 피서를 갔냐구요? 물론 아니죠~. 바닷가에서 자
연의 힘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는 반가운 제보가 들어와 인터뷰를 하러 왔답니다. 깨끗한 에너지를 만든다는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 지금
부터 함께 만나 보시죠.
안녕하세요? 자연의 힘으로 전기를 생산하신다는 분이신가요? 흠…. 겉으로 보기엔 무슨 창고처럼 보이는데….
무슨 그런 섭섭한 말씀을! 바다에서 자연의 힘이라고 하면 생각나는 바로 그거! 바닷물의 흐름을 이용하는 조류발전소라구요. 이래 봬도 국토해양부와 해양연구원에서 국내에서 최초로 세운 조류발전소로, 시험용 조류발전소로는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크답니다.
조류라고 하면 밀물과 썰물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그건 조력발전 아닌가요? 아이고, 기자도 정말 헷갈리네요~.
조력발전은 바닷물을 가둬 놓고 밀물과 썰물 때의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해요. 하지만 조류발전은 바닷물이 빠르게 흐르는 곳에 터빈을 설치해 놓고, 태양과 달의 인력으로 해수면의 높이가 바뀌면서 바닷물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한답니다.
태양과 달의 힘을 이용한다…. 그렇다면 발전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나올 염려는 없겠네요.
맞아요. 그래서 기대가 더 크답니다. 해양연구원에서는 한반도 연안에 100만KW 규모의 조류에너지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약 44만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양으로, 연간 103만 톤의 탄소를 줄일 수 있는 규모지요.
시험 발전소가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깨끗한 에너지를 만들어 내길 기대할게요. 그런데 조류발전소가 있는 이 곳이 역사적으로도 유명하다면서요?
맞아요. 이 곳은 전라남도 진도의 울돌목이랍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명량대첩을 승리로 이끈 곳이지요. 더불어 바닷물이 흐르는 속도가 11노트로, 전남 장죽수도, 맹골수도와 함께 조류발전의 최적지로 꼽힌답니다. 역사적 장소에서 생산될 깨끗한 자연 에너지를 많이 기대해 주세요~.
연의 힘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는 반가운 제보가 들어와 인터뷰를 하러 왔답니다. 깨끗한 에너지를 만든다는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 지금
부터 함께 만나 보시죠.
안녕하세요? 자연의 힘으로 전기를 생산하신다는 분이신가요? 흠…. 겉으로 보기엔 무슨 창고처럼 보이는데….
무슨 그런 섭섭한 말씀을! 바다에서 자연의 힘이라고 하면 생각나는 바로 그거! 바닷물의 흐름을 이용하는 조류발전소라구요. 이래 봬도 국토해양부와 해양연구원에서 국내에서 최초로 세운 조류발전소로, 시험용 조류발전소로는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크답니다.
조류라고 하면 밀물과 썰물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그건 조력발전 아닌가요? 아이고, 기자도 정말 헷갈리네요~.
조력발전은 바닷물을 가둬 놓고 밀물과 썰물 때의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해요. 하지만 조류발전은 바닷물이 빠르게 흐르는 곳에 터빈을 설치해 놓고, 태양과 달의 인력으로 해수면의 높이가 바뀌면서 바닷물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한답니다.
태양과 달의 힘을 이용한다…. 그렇다면 발전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나올 염려는 없겠네요.
맞아요. 그래서 기대가 더 크답니다. 해양연구원에서는 한반도 연안에 100만KW 규모의 조류에너지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약 44만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양으로, 연간 103만 톤의 탄소를 줄일 수 있는 규모지요.
시험 발전소가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깨끗한 에너지를 만들어 내길 기대할게요. 그런데 조류발전소가 있는 이 곳이 역사적으로도 유명하다면서요?
맞아요. 이 곳은 전라남도 진도의 울돌목이랍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명량대첩을 승리로 이끈 곳이지요. 더불어 바닷물이 흐르는 속도가 11노트로, 전남 장죽수도, 맹골수도와 함께 조류발전의 최적지로 꼽힌답니다. 역사적 장소에서 생산될 깨끗한 자연 에너지를 많이 기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