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이지만 집안에서만 놀기는 지겹다구요? 그렇다면 하얀 눈 위에서 신나게 놀아 보는 건 어떨까요? 스키, 스노우보드, 눈썰매 모두 모두 즐거운 겨울 스포츠지요. 빠르게 눈 위를 내려가다 보면 매서운 추위도 금세 잊어 버리게 된 답니다. 갑자기 궁금해지지 않나요? 이렇게 신나는 겨울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원리가 말이에요. 그 원리에 대해 알아보러 하얀 눈밭으로 씽씽 달려가 봐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0503/C200503N001_img_01.JPG)
눈 위에선 왜 미끄럽지?
뽀드득! 뽀드득! 아무도 밟지 않은 눈을 밟아 본 적 있나요? 기분이 참 좋죠. 앗, 꽈당! 미끄러져 버렸어요. 엉덩이가 너무 아파요. 스케이트, 스노우보드, 스키와 같은 겨울 스포츠의 공통점은 미끄러진다는 것이죠? 눈은 왜 미끄러운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물 때문이랍니다. 눈과 발 사이에 눈이 녹아 생긴 물막이 있어서 그런 거예요. 스키나 스노우보드, 눈썰매를 탈 때도 눈 위에 0.01cm 정도의 얇은 물막이 생기는데, 이 물막이 있어서 스르르 미끄러지게 되지요. 이런 물막은 움직이는 물체에 생기는 마찰열 때문에 눈이 살짝 녹아 생기는 것이랍니다. 눈 위를 지나가고 나면 마찰열은 사라지고 눈은 다시 얼게 되지요.
여기서 문제! 만약에 금속으로 스키를 만든다면, 나무로 만든 스키보다 더 잘 미끄러질까요? 아니랍니다. 금속이 더 매끈매끈한데 왜 잘 미끄러지 않을까요? 스키나 스노우보드, 눈썰매는 대부분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만드는데요. 금속으로 만들게 되면 열전도율이 크기 때문에 마찰열이 쉽게 빠져나가 물막이 생기기 어렵고, 물막이 생기지 않으면 마찰이 커져서 잘 미끄러지지 않는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0503/C200503N001_img_02.JPG)
속도 조절이 가장 큰 묘미!
키나 스노우보드, 눈썰매는 모두 눈 위를 빠르게 내려오면서 즐기는 스포츠지요. 하지만 속도를 줄이는 방법을 모른다면 위험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이 바로 멈추는 방법이지요. 스키를 처음 탈 때 배우게 되는 것이 스키 앞부분은 모으고 뒷부분은 벌려 A자 모양을 만드는 거죠. 이런 모양으로 타면 스키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해하는 제설 저항이 커져서 속도가 줄어들어요.
제설 저항은 눈을 밀어 낼 때 생기는 저항을 말해요. 스노우보드를 탈 때도 발 앞쪽을 들면 제설 저항이 커져 속도가 줄어들게 되는 거예요. 눈썰매를 멈출 때 발을 바닥에 대면 발 앞에 눈이 쌓이면서 멈추죠? 이것이 바로 제설 저항이에요.
자! 이제 천천히 타는 방법을 알았으니 속도를 조절하면서 눈 위를 씽씽~ 달려 보자구요!
눈 위에선 왜 미끄럽지?
뽀드득! 뽀드득! 아무도 밟지 않은 눈을 밟아 본 적 있나요? 기분이 참 좋죠. 앗, 꽈당! 미끄러져 버렸어요. 엉덩이가 너무 아파요. 스케이트, 스노우보드, 스키와 같은 겨울 스포츠의 공통점은 미끄러진다는 것이죠? 눈은 왜 미끄러운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물 때문이랍니다. 눈과 발 사이에 눈이 녹아 생긴 물막이 있어서 그런 거예요. 스키나 스노우보드, 눈썰매를 탈 때도 눈 위에 0.01cm 정도의 얇은 물막이 생기는데, 이 물막이 있어서 스르르 미끄러지게 되지요. 이런 물막은 움직이는 물체에 생기는 마찰열 때문에 눈이 살짝 녹아 생기는 것이랍니다. 눈 위를 지나가고 나면 마찰열은 사라지고 눈은 다시 얼게 되지요.
여기서 문제! 만약에 금속으로 스키를 만든다면, 나무로 만든 스키보다 더 잘 미끄러질까요? 아니랍니다. 금속이 더 매끈매끈한데 왜 잘 미끄러지 않을까요? 스키나 스노우보드, 눈썰매는 대부분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만드는데요. 금속으로 만들게 되면 열전도율이 크기 때문에 마찰열이 쉽게 빠져나가 물막이 생기기 어렵고, 물막이 생기지 않으면 마찰이 커져서 잘 미끄러지지 않는답니다.
속도 조절이 가장 큰 묘미!
키나 스노우보드, 눈썰매는 모두 눈 위를 빠르게 내려오면서 즐기는 스포츠지요. 하지만 속도를 줄이는 방법을 모른다면 위험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이 바로 멈추는 방법이지요. 스키를 처음 탈 때 배우게 되는 것이 스키 앞부분은 모으고 뒷부분은 벌려 A자 모양을 만드는 거죠. 이런 모양으로 타면 스키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해하는 제설 저항이 커져서 속도가 줄어들어요.
제설 저항은 눈을 밀어 낼 때 생기는 저항을 말해요. 스노우보드를 탈 때도 발 앞쪽을 들면 제설 저항이 커져 속도가 줄어들게 되는 거예요. 눈썰매를 멈출 때 발을 바닥에 대면 발 앞에 눈이 쌓이면서 멈추죠? 이것이 바로 제설 저항이에요.
자! 이제 천천히 타는 방법을 알았으니 속도를 조절하면서 눈 위를 씽씽~ 달려 보자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