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 년 전 지금의 이라크 지역. 두 개의 큰 강 사이에 비옥한 토지에서 살던 사람들이 있었다. 비옥한 토지 덕분에 일찍이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 사람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보며 달력을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쓰여 있는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는 친구를 만나기 위해 저승으로 여행을 떠난다.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 저승을 찾기 위해 길가메시는 어떤 준비를 했을까? 여러 가지가 필요하겠지만, 아무래도 길을 찾는 데 쓸 지도가 있어야 한다. 수천 년 전 바빌로니아에서는 어떤 ...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여러 신을 섬겼다. 태양의 신 샤마쉬를 포함한 7명의 주요 신이 있고, 그 외에도 수많은 신이 있었는데 바빌로니아의 주신은 마르둑이었다. 마르둑은 목성과 관련 있는 신이었고, 바빌로니아인의 목성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행성보다도 특별했다.새로운 점토판의 출현올 ...
무용수의 몸짓은 도형을 만든다. 안무를 짜는 사람들은 직관적으로 기하학을 동작에 반영한다. 특히 여러 사람이 추는 춤을 만들 때는 무용수의 이동 경로, 분위기, 배치를 다르게 해 자연스럽게 관객의 시선을 모은다. 무대 중앙에서 중요한 장면이 펼쳐지는데 주변에 있는 무용수가 무대를 가로 ...
여러분 안녕하세요? 꿈꾸는 다락방지기 DJ 한나입니다. 봄바람 휘날리며~ 흩날리는 벚꽃 잎이 울려 퍼질 이 거리를~ 둘이 걸어요~ 그렇습니다. 요즘 어딜 가도 두 손 꼭 잡고 다니는 커플들로 가득하죠? 주변엔 온통 외로운 영혼뿐인데, 달콤한 냄새 솔솔 풍기는 이 분들은 도대체 다 어디서 온 걸까 ...
있다. 현 교수는 지난 2013년 수학 분야 세계 최고 저널인 에 발표한 논문으로 이 상을 받았다. 논문의 내용은 모듈라이 공간의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것이다.모듈라이 공간이란 쉽게 말하면 분류하고자 하는 대상이 있을 때 이를 ...
사람이 내린 명령어를 수행해요.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아래 화면은 ‘hello, mathematics’라는 글자를 출력하도록 두 가지 서로 다른 언어로 코딩한 결과다. 서로 다른 언어로 구성된 코딩인데 결과적으로는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그 이유는 컴퓨터에는 코드가 ...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 연구 성과로 수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인 ‘수학연보(Annals of Mathematics)’에 논문이 소개되기도 했다. 금 원장은 지금도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수학자 중 한 명이지만, “세계적인 수학자가 되는 것은 평생의 꿈이고, 수학자는 평생 해야 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그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수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인 ‘수학연보’(Annals of Mathematics)에 제 논문을 실었지요. 앞으로 고등과학원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거예요. 하지만 이와 더불어 앞으로도 수학자로서 연구의 끈을 놓지 않도록 노력하고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