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까만 우주에 거대한 해파리가 나타났다. 별을 향해 꿈틀거리더니 푸른 촉수를 뻗는다. 해파리 성운(IC 443)을 담은 이 작품은 한국천문연구원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올해 천체사진공모전에는 지구의 밤하늘과 태양계, 그리고 깊은 우주 ...
“과학동아 기자면 보통 어디로 취재를 가나요?” 질문을 받을 때마다 답은 늘 같습니다. 대전입니다.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 내에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이 모여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 최초의 과학기술 연구단지인 대덕특구는 올해로 50주년을 맞았습니다. 대덕에 어떻게 연구단지 ...
꿈꿨던 것처럼 인공적인 방법으로 원소를 다른 원소로 바꾸는 데 성공했던 것이다. 1935년 졸리오-퀴리 부부는 이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이렇게 해서 퀴리 가문의 노벨상 메달은 모두 5개가 된다. 퀴리 가문의 다섯 개의 노벨상은 진실 ...
받았습니다. 세계 7개국 18명의 생명과학자들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향후 최소 5년간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과 착상을 전면 중단하고, 이를 관리감독하는 국제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세계적인 파장을 일으킨 허 전 교수는 2019년 3년형을 구형받았죠. ...
화석연료가 점차 고갈되면서 지속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수소는 풍부함, 지속성, 비독성,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이점이 있어서, 꾸준히 증가하는 전 세계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19년 한국 정부는 수소 ...
민들레 씨앗이 수 km까지 날아가는 원리를 이용해,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소형 비행체를 개발한 사람. 각기 다른 줄무늬 패턴으로 얼룩말을 구분한다는 점에 착안해, 디지털 인증보안 기술을 개발한 사람. 창의적이고 신선한 아이디어로 꾸준한 성과를 올리고 있는 주인공은 김봉훈 대구경북과학기 ...
영광이에요. 그럼 인터뷰 진행해볼게요. 첫 질문은.A. 안녕하세요? 저는 김현우입니다. 1995년 3월 4일에 태어났어요. 어릴 때부터 그림을 좋아했어요. 아차차. 작업실에 놓인 그림에 넋이 나가 김 작가의 이야기를 빨리 듣고 싶은 나머지, 어머니께 미리 들은 그의 습관을 고려하지 못했다. 그는 낯선 ...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 문제가 심각하다.’ 이 문장을 읽으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아리송하다면, 다음 문장도 읽어보세요. ‘우리나라의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0년보다 약 3.5% 늘어 3년 만에 증가세로 들어섰다.’ 이건 어떤가요? 온실가스 문제의 심각성이 훨씬 더 생생하게 느껴지 ...
매년 봄, 메시에 마라톤 행사를 주최해왔다. 악천후와 코로나19로 행사를 건너뛴 지 4년. 5년 만에 다시 이곳에서 20회 메시에 마라톤이 열렸다. 대회 참가자 17명을 비롯해 행사 분위기를 즐기기 위한 참관객까지 총 50명이 메시에 마라톤을 위해 모였다. 천체사진 촬영을 좋아하는 부녀, 같은 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