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석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원자배열중에 물의 분자를 함유하고 있는 결정체이다. 이 함수결정체(含水結晶體)에 열을 가하면 물은 쉽게 나온다. 유리박사가 주장하듯이 지구가 처음부터 차가웠다면 결정체에서 나오는 물은 태초부터 지구상에 존재하였다. 그리고 후에 화산활동 등과 운석의 ...
풀어서 '드시터(de Sitter) 우주 모형'을 도입했는데 이것의 특징은 지수 함수적 팽창이다. '스타로빈스키'(Starobinsky)는 팽창의 개념을 간단하게 하기 ... 기인한다. 서울대학교의 조용민교수는 시공 4차원에 전기 자기장 1차원을 합한 5차원의 '칼루짜-클라인'이론을 일반화하는데 성공했다. 이 ...
만큼의 연쇄반응이 겹칠수가 있다. 핵분열의 회수는 연쇄반응이 진전됨에 따라 지수함수적(指數函數的)으로 늘어가므로 나중의 연쇄반응 일수록 핵분열로 발생하는 에너지도 크다. '그래스턴'의 시산방식에 따르면 TNT 화약으로 환산하여 10만t의 폭발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최초의 핵분열에서 ...
수 없는 또 한가지는 바이칼호이다. 바이칼호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3만㎢의 호수다. 함수량은 지구상에서 두번째 큰 탕가니카호의 약 2배인 2만2천㎦로 이는 세계의 담수총량의 40분의 1이나 되는 것이다. 가장 깊은곳은 1천6백20m이며 이곳에 흘러드는 하천은 3백 36개나된다. 흘러나가는 것은 ...